14 - 후행성 보조지표 MACD 란?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MACD 보조지표

MACD의 정의

오늘 알아볼 것은 보조지 표 시리즈인데요.

그 중 첫번째로 MACD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시작하기전에 주식 보조지표에 대하여 이야기를 잠깐 하자면..

주식보조지표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주가의 추세강도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정리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 그대로 보조지표입니다. 투자의 보조역할을 해야지 투자의 결정을 보조지표로 하시면 곤란하다고 할 14 - 후행성 보조지표 MACD 란? 수 있습니다. 왜냐면 기본적으로 차트의 성질은 후행성이고, 지나간 차트를 보고 설명을 하기엔 쉽지만 앞으로 올 상황에 대한 확신은 힘들거든요.

그럼 그 첫번째시간, MACD 시작해보겠습니다.

MACD란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의 약자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 의 약자입니다.

MACD가 만들어진 가장 근본적인 이유로는 저점이 지나야 매수신호가 오고 고점이 지나야 매도신호가 오게되어 이런방식으로 매매를 하게되면 결국 무릎에서 사게되고 주가의 상승이 둔화되었을때 이를 캐치하지 못하여 어깨에서 팔게되는 것을 보완하려고 만든 보조지표인데요. 한마디로 주가가 상승하려는 낌세가 보일때 14 - 후행성 보조지표 MACD 란? 바닥에서 사서 고점에서 팔려고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1979년 Gerald Appel이 만든 지표인데요. 기본적으로 두가지의 선을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주는 공식입니다.

그 두가지의 선은 MACD 선과 Signal 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MACD 선 이란 단기(12일)지수이동평균 - 장기(26일)지수 이동평균

Signal 선 이란 9 일간의 MACD 지수이동 평균 을 뜻합니다.

이 두가지 선을 통하여 어떻게 매매를 하냐면 기본적으로 MACD선이 Signal 선을 상향돌파하면 매수, 하향돌파하면 매도하는 기본적인 전략 입니다.

그럼 한번 실제로 적용이 되나 살펴볼까요?

위 그래프에서 보면 빨간색이 MACD 선, 청록색이 Signal선인데요.

매수신호는 빨간색 화살표로, 매도신호는 파란색화살표로 나와있습니다.

따라서 위 매수 및 매도신호대로 매매를 한다고 했을때

12회의 화살표 중 4회빼고 모두 손실을 줄이고 이익을 늘리는 성공적인 매매를 할 수 있었습니다.

66%대의 적중률을 보이는데요.

하나 더 사례를 적용해볼까요?

위 그래프에서는 MACD 적중률이 11회 중 3회정도 밖에 맞지 않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났을까요?

MACD는 정배열주식, 역배열주식, 급등주, 급락주, 박스권에 갇힌 주식에는 적용이 힘들다는 함정이 있습니다.

정배열 주식은 사례 1에서 보시듯 MACD가 왠만해선 0밑으로 내려가지 않습니다.

역배열 주식은 사례 2에서 보시듯 MACD가 왠만해선 0위로 올라가지 않습니다.

한마디로 추세가 살아있을때의 MACD는 잘 적중하지만, 추세가 죽었을때 MACD는 적중률이 떨어진다.

고로 Action Plan을 제시해드리면

추세를 60일선으로 잡은 뒤

MACD가 0 이상 이며 추세가 살아있는 경우 - 매수

MACD가 0 이하 - 매도 및 매수금지

이런식의 매매기법을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2. MACD 오실레이터(MACD osc)

그렇다면 MACD 오실레이터는 무엇일까요?

MACD 오실레이터란 MACD가 선으로 이루어져있어 0을 기준으로 상향인지 하향인지 보기 힘들다고 Manning Stoller이란 사람이 개발한 지표인데요.

MACD와 SIGNAL 선을 같이 긋지않고 MACD에서 Signal을 빼서 봉으로 표시한 것을 MACD 오실레이터 라고 합니다. 어떻게 보면 아주 간단한 아이디어지만 이 지표로 인해 MACD가 더 보기 편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맨 아래부분이 MACD 오실레이터인데요.

MACD 오실레이터가 빨간색이 시잘할때 매수, 파란색이 시작할때 매도라는 전략을 쓴다면 MACD를 사용한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Trader Seja

MACD 보조지표

MACD란 ? 추세추종 지표라고도 하며 가격이 한번 형성되면 일정기간 동안 한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만든 지표 중 하나입니다. 추세 추종 매매관점으로 매우 유용한 지표로 추세에 대한 중기적 흐름 파악에 용이하도록 나오는 지표 입니다.(주가의 추세강도, 방향 및 지속시간의 변화를 나타내도록 설계된 지표)

센터에있는 직선을 ' 0 ' 선으로 잡고 일명 영점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래프가 영점에서 부터 위로 상승할 경우 상방 추세로 추측 할 수 있으며 하방으로 하락 할 경우 하방추세라고 추측 할수 있습니다.

다른 트레이더 분들은 어떻게 MACD의 지표를 참고할지 모르겠으나 개인적인 관점에 의해서는 저는 MACD를 사용하는 이유는 하락 후 진짜 반등인지 아닌지를 구별 할때 많이 씁니다. 개인적인 관점이니 이런게 있구나 하고 참고만 해주셨으면 합니다.

MACD 지표를 이용해 진짜 반등인지 확인 하는 관점 공유.

위 그림을 통해 개인적인 관점 이지만 진짜 반등을 확인 하는 방법을 알려드려 보겠습니다. MACD의 지표는 힘의 균형을 나타냅니다. 1번의 14 - 후행성 보조지표 MACD 란? 하락 할때의 하락 강도를 10이라고 할 경우 2번의 하락일때의 하락 강도는 20정도로 생각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3번의 하락 할때 하락의 강도는 30 ~ 40의 힘이라고 정할 수있죠. 그런대 여기서 중요한 점은 1번 2번 3번 하락할때 하락 강도는 점점 강해지면서 저점이 낮아 졌습니다. 그런대 여기서 4번 하락할때 저점은 깨졌지만 하락 강도는 2번과 비슷 하고 3번의 하락강도 보다 낮아지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반등은 진짜 반등이다 라고 명시 할 수 있는겁니다. (RSI 의 다이버전스와 비슷 하지만 개념은 비슷합니다. 하지만 MACD는 시간의 관점까지 같이 들어가있는 지표라 좀더 신뢰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반대로 생각 할 수 도있습니다. 상승 할때 MACD의 지표는 상방을 향하게 되겠죠 상승 고점을 깰때마다 MACD의 지표의 힘도 점점 강해져야 합니다. 위와 똑같은 관점으로 상승 하던 캔들의 고점이 상승되었는데 MACD 지표에서 전고점의 상승 강세보다 약해지면 하락의 위험이 있다! 라고 생각 하는 매매 관점으로 들어 갈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관점은 잘 모르겠고 차트 초보인대 MACD의 지표를 가지고 매매를 하고 싶다고 할 경우, 0점의 선을 상승돌파 할 경우 매수의 관점으로 볼 수 있으며 0점의 선을 하방 돌파를 할 경우 매도의 관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MACD는 후행성 보조 지표이므로 선행으로 예상해서 매매를 할 경우 트레이더분의 관점과 반대로 움직 일 수 있는 상황도 생각을 하셔야합니다. 모든 보조지표는 정확하지 않으니까요. 설계된 지표이기에 100% 라는 것은 없습니다.

그러니 항상 대응 할 수 있으셔야 하고 14 - 후행성 보조지표 MACD 란? 안전하게 매매 하시길 바랍니다.

#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해당 게시글은 참고용, 공부용으로만 사용 하세요 #

코인 기초 공부#11 - 이동 평균선 이란?

안녕하세요 Trader seja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차트의 지표중 하나인 이동평균선에대해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이동 평균선은 단순이동평균선, 지수이동평균선, 가중이동평균선, 기타이동평균

코인 기초 공부#13 - 차트 추세선 지지선 저항선 이란?

안녕하세요 Trader seja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차트에서 추세선을 긋는법. 그 추세선을 이용한 매매 진입을 위한 관점을 공부하겠습니다. 추세선 이란? 가격의 흐름의 특성 가운데 일반적으로 일

코인 기초 공부#10 - RSI지표 / 다이버전스 매매법?

안녕하세요 Trader seja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저번 포스팅에서 사용한 RSI 지표를 가지고 다이버전스를 통한 매매법을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이버 전스란? 캔들의 추세와 달리 RSI지표의 과

[AT] 17. MACD 지표에 대한 구현 및 매매시점 예측 (1)

블로그 이미지

바로 전에는 이동평균선(MA)에 대한 구현 및 매매시점 예측이라는 타이틀로 진행을 하고 있었습니다. 매매시점 예측에 대해서는 좀더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이동평균선(MA)의 구현만 우선 마무리하고 나머지는 이후에 기회가 되면 추가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오랜시간 글을 올리지 못했는데. 그 사유는 따로 언급은 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건강상의 문제도 있었고, 개인적으로도 너무 많은일이 있었습니다. 이제는 어느정도 정리가 되어 꼭 매일 올린다고 할 수는 없지만 자주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구현해 보고자 하는 부분은 MACD 지표에 대한 구현 및 매매시점 예측입니다. 아무래도 MACD에 대한 방식은 사용하는 지표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실험을 통해서 매매시점의 최적화를 하기에는 좀 더 빠른 판단하기가 쉽습니다. 이번에 진행하는 타이틀은 아래의 단계로 진행해 보겠습니다.

  • MACD에 대한 정의 및 구현
  • 구현된 결과에 대한 정합성 확인
  • MACD를 활용한 매매기법 확인 및 적용
  • 매매기법 별 시뮬레이션 및 실험실
  • 향상된 이동평균산정 법칙 적용 및 실험실

자 그럼 첫번째 시간으로 MACD에 대한 정의 및 구현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1. MACD란?

MACD의 약어를 풀이해 보면,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로써 기존에 많이 봤던 이동평균을 뜻하는 Moving Average(MA)에 대한 수렴과 확산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눈치로 맞춰보면 MA가 들어가니 이동평균선을 가지고 만나고 멀어지는 것으로 뭔가 수치화를 하는 것인가?? 라고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MACD는 제럴드 아펠(Gerald Appel)이라는 사람에 의해서 개발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 지표의 원리는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기 이동평균선은 항상 서로 가까워졌다가(Convergence) 멀어졌다가(Divergence)를 반복하고, 이 두개의 이동평균선은 서로 교차하는 점을 항상 만들게 된다는 것을 그 시작으로 합니다.


2. MACD의 기본 지표

MACD에는 기본적으로 3가지 지표를 가지고 매매시점을 판단하게 됩니다. 첫번째는 MACD 그 자체이고, 두번째는 MACD Signal, 마지막으로는 0을 나타내는 기준선이 그것입니다. 각각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MACD = MA12 (12일 이동평균선) - MA26 (26일 이동평균선)
MACD Signal = MACD자체를 가지고 MA9 (9일 이동평균선)를 구한 값
0선 = 각 지표의 양과 음의 값을 나타내는 기준선 (0의 값이 그 기준인 직선)

이렇게만 말하면 도데체가 MACD는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수치화한 값이다. 이 정도만 이해가 되고 그게 의미하는 바를 알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차트에서는 어떻게 그것이 적용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3. MACD의 의미

[종목코드 : 005930, 종목명 : 삼성전자]

측정기간 : 2020년 11월 10일 기준으로 업무일 기준 60일 전까지의 Data

위의 그림은 삼성전자의 차트들로 2개의 차트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그 중 위의 차트는 삼성전자의 12일 이동평균선 (MA12)을 파란색으로, 26일 이동평균선 (MA26)을 주황색으로 나타낸 표 입니다. 그리고 아래 차트는 MACD를 나타낸 표 입니다. 0선도 같이 잘 보이네요.

그림에서 (1) 번을 살표보겠습니다. (1)은 MACD가 음수에서 양수에서 변하는 지점이고, 26일선을 12일선이 상향 돌파하는 지점입니다. 이것을 흔히 골든크로스(Golden Cross)라고 하며, 주가상승의 매수신호도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2) 번에서는. MACD가 양수에서 음수로 변하는 지점이고, 26일선을 12일선이 하향 돌파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데드크로스(Dead Cross)라고 하고, 주가하락의 신호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MACD의 의미입니다.


4. MACD와 14 - 후행성 보조지표 MACD 란? MACD Signal의 관계

[종목코드 : 005930, 종목명 : 삼성전자]

측정기간 : 2020년 11월 10일 기준으로 업무일 기준 60일 전까지의 Data

위의 그림은 아까와 동일한 그림입니다. 변경된 내용은 아래 차트에 주황색으로 MACD Signal 선이 추가되었습니다.

자 그렇다면, MACD와 Signal선이 크로스 되는 지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번은 MACD선이 MACD Signal 선을 상향 돌파하는 지점입니다. 이를 골든크로스라고 하며, 이것의 의미는. 곧 있으면 26일선을 12일선이 상향돌파 할 가능성이 보인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곧 주가상승의 매수신호로 판단이 가능하겠죠.

그럼 (2) 번에서는 14 - 후행성 보조지표 MACD 란? 반대로. MACD선이 MACD Signal 선을 하향 돌파하는 지점입니다. 이를 데드크로스라고 하며, 이것의 의미는. 곧 있으면 26일선을 12일선이 하향돌파 할 가능성이 보인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그림에서 보면 하향돌파는 하지 않지만 약간의 감소추세는 있었습니다. 역시나 확률이고, 그럴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이지 반드시 그렇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은 꼭 명심하셔야 합니다.


5. MACD와 14 - 후행성 보조지표 MACD 란? 관련 지표 구현

그렇다면 이제. 이 로직을 프로그램으로 적용해 보고자 합니다. 바로 전에, 이동평균선(MA)에 대한 구현 및 매매시점 예측이라는 타이틀로는 각종 Moving Average에 대해서 DataFrame을 통해서 구현하고, 그 값을 DB에 저장하였습니다.

이번에는 MACD와 MACD Signal 항목을 추가하여 그 DB에 저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 이동평균선들을 구해서 해당 종목의 DB에 저장하는 방법은 이전글들을 참조부탁드리고, 이번에는 MACD와 관련지표를 위해서 추가되는 코드만 추가해 보겠습니다.

작성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MA12와 MA26을 추가로 구하기

(2) MACD를 구하기 위해서 각 일별 MA12 - MA26을 구하고, 이를 DataFrame에 추가

(3) MACD Signal을 구하기 위해서 MACD에 대한 MA9를 14 - 후행성 보조지표 MACD 란? 추가로 구하기

첫번째로, 우선 MA12 (12일 이동평균선)과 MA26 (26일 이동평균선)을 기존 이동평균선 구하는 로직에서 추가를

두번째로, MACD를 구하는 함수를 하나 만들어 줍니다.

해당 함수는 총 2개의 파라메터를 받습니다. MA12 (12일 이동평균선)과 MA26 (26일 이동평균선)을 받으면, 각 행별로 둘의 차를 구해줍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DataFrame에서 rolling으로 14 - 후행성 보조지표 MACD 란? 값을 구하면 데이터가 없어서 구하지 못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이 nan으로 표시가 됩니다.

따라서, nan에 대한 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아래 코드이며. 이 경우 0값을 넣어줍니다.

그리고 전달받은 값을. 아래와 같이 DataFrame에 추가해줍니다.

이제 마지막 단계입니다. 세번째로는. MACD Signal을 구하기 위해서 MACD에 대한 MA9를 추가로 구현해줍니다. 이미 많이 해봤기 때문에 코드만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래와 같이 MACD에 대한 지표가 추가되어, 해당 종목의 테이블에 착착 저장이 되게 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진행하고, 다음 시간에는 여기서 구한 MACD지표들을 가지고 실제로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정합성을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동 평균 수렴 발산 (MACD)이란 무엇입니까? MACD 표시기를 사용하여 ExpertOption에서 거래

이동 평균 수렴 발산 (MACD)이란 무엇입니까? MACD 표시기를 사용하여 ExpertOption에서 거래

진실은 지표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도 왜 내가 너를 지루하게하는거야?

나중에 MACD 설정을 조정할 때 이해해야하기 때문입니다.

MACD는 12 일 지수 이동 평균에서 26 일 지수 이동 평균을 빼서 구합니다.

12 일 EMA – 26 일 EMA = MACD

  • 지수 이동 평균 (EMA)은 가장 최근의 시장 데이터 포인트를 더 강조하는 이동 평균 유형입니다.
  • 이 경우 12 기간 EMA는 단기 EMA입니다.
  • 그리고 26 일 EMA는 장기 EMA입니다.
  1. MACD 라인 상단에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신호 라인 ( 9주기 EMA ). 프로 트레이더는이를 매수 및 매도 신호의 트리거로 사용합니다.
  2. 히스토그램 – MACD와 신호선 사이의 거리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3. MACD 라인 자체 – 단기 EMA에서 장기 EMA를 뺀 것입니다.

MACD 표시기 이해

Expert Option의 트레이더로서 귀하의 최우선 순위는 항상 추세를 식별 할 수있는 것입니다.

왜?

대부분의 상인이 돈을 버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MACD 지표가 등장합니다. 이는 강세 또는 약세 여부에 관계없이 시장 동향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어떻게?

  • 첫 번째는 빠른 이동 평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숫자를 나타냅니다.
  • 두 번째는 느린 이동 평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기간 수를 나타냅니다.
  • 세 번째는 빠른 MA와 느린 MA 간의 차이의 이동 평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막대의 수를 나타냅니다.
  • 빠르게 움직이는 평균의 이전 12 개 막대는 12입니다.
  • 느린 MA의 26 개의 이전 마디를 표시합니다.
  • 마지막으로, 9는 빠른 MA와 느린 MA의 차이에 대한 9 개의 이전 막대를 나타냅니다. 이는 차트에 세로 막대 또는 히스토그램으로 표시됩니다.

다음은 인기있는 MACD 용어 중 일부입니다.


MACD 발산이란 무엇입니까?


MACD 컨버전스 란?

이것은 MACD 발산의 반대입니다.

차트의 가격이 하락하는 동안 두 이동 평균선이 상승하는 것처럼 보일 때 발생합니다.

방금 배운 내용을 고려하여 Expert Option의 거래 차트에 MACD 지표를 추가하는 방법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인디케이터를 추가 한 후에는 다음 작업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MACD에서 신호를 읽는 방법.

Expert Option에 MACD 표시기를 추가하는 방법

전문가 옵션에 MACD를 추가하는 것은 쉽습니다. 즉, 다른 지표를 사용하여 거래 한 경우입니다.

MACD 지표를 트레이딩 차트에 추가했으면이를 연구하고 거래 가능한 신호를 생성 할 때입니다.

도움을 드리기 위해 다음은 최고의 MACD 거래 전략 중 일부입니다.

지금 시도해야 할 최고의 MACD 거래 전략

이러한 전략을 살펴본 후 Expert Option에서 MACD 지표를 거래하는 방법을 배우게됩니다.

MACD에 서로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두 개의 이동 평균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빠른 MA가 느린 MA보다 가격 행동에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MACD 크로스 오버

결과적으로 새로운 트렌드가 형성되면 더 빠른 MA가 가장 먼저 반응하여 결과적으로 더 느린 라인 (신호 라인)을 교차합니다. 이 경우 크로스 오버라고합니다.

교차하는 동안 더 빠른 선은 느린 선에서 멀어집니다 (분할). 거래자들은 이것을 새로운 추세의 형성으로 해석합니다.

MACD 발산

이미 논의했듯이 이는 MACD가 가격선에서 멀어 질 때 발생합니다.

  1. Bullish divergence – MACD가 2 개의 고 저점을 등록하고 가격선이 2 개의 저점을 나타낼 때 나타납니다.
  2. Bearish divergence – MACD 라인이 가격의 상승하는 두 고점과 비교하여 두 번의 하락 고점을 보여줄 때.


MACD의 급격한 상승 및 하락

짧은 이동 평균이 장기 이동 평균에서 멀어지면 기본 자산이 과매 수 또는 과매도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수정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자산 가격은 어느 시점에서 정상 수준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ExpertOption에서 트레이드 모닝 스타하는 방법

ExpertOption에서 트레이드 모닝 스타하는 방법

가격이 ExpertOption에 대한 지지/저항에서 이탈할 때 식별 및 취해야 할 조치에 대한 안내

가격이 ExpertOption에 대한 지지/저항에서 이탈할 때 식별 및 취해야 할 조치에 대한 안내

ExpertOption에서 Three Inside Pattern을 사용하는 방법

ExpertOption에서 Three Inside Pattern을 사용하는 방법

ExpertOption에서 추세선을 사용하여 풀백을 거래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ExpertOption에서 추세선을 사용하여 풀백을 거래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ExpertOption에서 Chaikin 변동성 오실레이터를 읽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ExpertOption에서 Chaikin 변동성 오실레이터를 읽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ExpertOption에서 신뢰할 수있는 지원 및 저항 수준을 찾는 방법

ExpertOption에서 신뢰할 수있는 지원 및 저항 수준을 찾는 방법

주석 답장 답장 취소

코멘트를 남겨주세요

ExpertOption

ExpertOption 모바일 앱 다운로드

Download ExpertOption App Google Play Android Download ExpertOption App Store iOS

ExpertOption로하라 미 패턴으로 상하를 잡는 방법

ExpertOption로하라 미 패턴으로 상하를 잡는 방법

최근 뉴스

Crypto를 통해 ExpertOption에 돈을 입금하십시오

Crypto를 통해 ExpertOption에 돈을 입금하십시오

ExpertOption에서 바이너리 옵션을 입금하고 거래하는 방법

ExpertOption에서 바이너리 옵션을 입금하고 거래하는 방법

제휴 프로그램에 가입하고 ExpertOption에서 파트너가 되는 방법

제휴 프로그램에 가입하고 ExpertOption에서 파트너가 되는 방법

인기 뉴스

ExpertOption 검토

ExpertOption 검토

제휴 프로그램에 가입하고 ExpertOption에서 파트너가 되는 방법

제휴 프로그램에 가입하고 ExpertOption에서 파트너가 되는 방법

ExpertOption 입금 방법-ExpertOption 계정에 입금하는 방법

ExpertOption 입금 방법-ExpertOption 계정에 입금하는 방법

인기 카테고리

DMCA.com Protection Status

ExpertOption는 2014 년에 시장에 나타났습니다. 그 이후로 우리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고 이전을 개선하여 플랫폼에서의 거래가 원활하고 수익성이 있도록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시작에 불과합니다. 우리는 거래자에게 수익을 올릴 기회를 제공 할뿐만 아니라 방법도 가르칩니다. 우리 팀에는 세계적 수준의 분석가가 있습니다. 그들은 독창적 인 거래 전략을 개발하고 거래자들에게 공개 웨비나에서이를 지능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거래자들과 일대일로 상담합니다. 교육은 트레이더가 사용하는 모든 언어로 진행됩니다.

일반 위험 알림: 거래에는 고위험 투자가 포함됩니다. 잃을 준비가되지 않은 자금을 투자하지 마십시오. 시작하기 전에 당사 사이트에 설명 된 거래 규칙 및 조건을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이트의 모든 예, 팁, 전략 및 지침은 거래 권장 사항을 구성하지 않으며 법적 구속력이 없습니다. 트레이더는 독립적으로 결정을 내리며이 회사는 이에 대한 책임을지지 않습니다. 서비스 계약은 주권 국가 인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에서 체결됩니다. 회사의 서비스는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주권 국가의 영토에서 제공됩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