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운용보수 계산 및 비교 방법 (언제 차감되는지 등)
최근에 패시브 투자 방법으로 ETF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많죠. ETF는 개별 주식이나 뮤추얼 펀드에 투자하는 것과 비교해서 다양한 장점이 있기 때문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ETF 투자 시 꼭 살펴봐야 할 ETF 운용보수 계산 및 비교 방법 등 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목차 (Contents)
ETF 운용보수란?
1. ETF 투자 비용
ETF에 투자할 때 들어가는 비용은 크게 2가지 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운용보수와 세금인데요. 이 외에도 증권사 수수료나 거래 수수료가 있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무료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세금에 대해서는 아래 글 참고)
2. ETF 운용보수 뜻
그러면 이번 글의 메인 키워드인 ETF 운용보수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ETF 운용보수(또는 운용보수율)는 영어로 expense ratio라고 하는데요. 자산 운용사가 ETF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기 위해 들어간 비용 을 투자자에 부담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ETF 운용보수 계산
1. ETF 운용보수 산출 방식
ETF 운용보수는 자산운용사의 ETF 운용 비용을 전체 ETF 자산가액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즉, ETF 전체 운용액 중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을 구하게 되는데요. 이를 공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ETF 운용보수(%) = ETF 운용 비용(operation expenses) / ETF 총 자산가액 (average total dollar value of the assets)
2. 운용보수 영향을 미치는 요소
ETF 운용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양합니다. 어떤 자산에 투자하는지, 어떤 투자 전략을 쓰는지 그리고 앞서 산출 방식에서 보듯이 ETF 운용자산 규모(AUM)도 운용보수에 영향을 미칩니다.
ETF 운용보수과 수익률
1. ETF 운용보수 언제 차감될까?
우리가 보는 ETF 가격은 이미 운용보수가 반영된 가격입니다. 예를 들어 ETF 1주당 최초 가격이 100원이고 운용보수가 0.1%인 경우를 보죠. ETF 포트폴리오에 있는 모든 주식들의 가격이 10% 오르면 ETF 가격은 110원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운용보수가 차감되어 ETF 1주당 가격은 109.9원이 됩니다. 즉, ETF 운용보수는 어느 특정 시점에 차감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가격에 반영되어 있는 것이죠.
2. 운용보수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앞서 예시에서 보듯이,우리가 ETF 1주를 100원에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사고 10% 올랐을 때 팔면 운용보수 때문에 109.9원에 팔게 되어 9.9%의 수익률을 거두게 됩니다. 만약, ETF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포트폴리오와 동일하게 직접 주식을 구입했다면 10% 수익률을 거뒀을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증권사가 대신 주식을 구입하고 포트폴리오 비중을 맞춰주는 수고를 해준 대신 운용보수를 떼갔기 때문에 수익률이 낮아진 것이죠.
이처럼 ETF 운용보수는 전체 ETF 투자 수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장기 투자로 금액이 커진다면 ETF 운용보수는 무시 못할 수수료 비용 이 될 수 있습니다. 즉, ETF를 고를 때는 꼭 운용보수를 비교해봐야 하는 것이죠.
ETF 운용보수 비교 방법
1. 투자 설명서 참고
모든 ETF는 투자 설명서(prospectus)에 운용보수와 각종 수수료에 대해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ETF를 고를 때는 기본적으로 투자 설명서를 꼭 참고해야 합니다. 투자 설명서에는 ETF 운용보수 뿐만 아니라 포트폴리오 구성, 투자 방식, 세금 등 에 대해서 자세하게 나와 있으니 귀찮더라도 체크해봐야 합니다.
2. ETF 비교 사이트 활용
ETF 운용보수를 비교하기 위해서 직접 투자 설명서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도 많이 걸리고 미국 ETF의 경우 영어로 되어 있어서 읽는 것도 힘들죠. 이런 경우에는 ETF 비교 사이트의 ETF Comparison Tool를 통해서 운용보수 등을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참고 : etf.com
이상 ETF 운용보수에 대해서 계산 방법과 비교 방법 그리고 언제 차감되는지 등을 살펴봤습니다. ETF에 장기 투자할 목적이라면 운용보수를 꼭 살펴봐야 합니다. 아울러 투자하고자 하는 ETF의 특징과 전망에 대해서도 잘 살펴봐야 하는데요. 어떤 종류의 ETF가 있는지 에 대해서는 아래 추가로 읽어볼 글들을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Disclaimer : 이 글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투자 판단에 대한 조언입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에 따라야 하며, 그 결과 또한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전체 메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ETF 브랜드 KODEX.
ETF는 어떠한 투자상품이고 얼마나 많은 장점이 있는지, 일반 펀드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다수의 ETF 브랜드 중 왜 KODEX ETF를 선택해야 하는지를 알기 쉽게 알려드립니다.
ETF의 개념과 장점
ETF의 개념
ETF(Exchanged Traded Fund)는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한 펀드입니다.
그래서 상장지수펀드라고 부르며, 인덱스 펀드와 주식 거래의 장점을 모두 갖추어 많은 투자자들이 활용하는 혁신적인 투자 상품입니다.
주식처럼 거래합니다. ETF는 분명히 펀드이지만, 거래소에 상장되어 각 상품마다 종목코드(예:KODEX200=069500)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처럼 거래소 개장시간 중에 MTS, HTS, 전화, 지점방문을 통한 직접 주문을 통해 증권계좌에서 매매할 수 있습니다.
ETF의 장점
ETF는 인덱스 펀드와 주식의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습니다.
투자성과가 명확합니다. 추적하는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기초지수의 성과가 ETF의 1주당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시장 전체나 특정 업종의 성과가 곧 투자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펀드매니저의 실수나 개별 종목이 가진 위험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아 시장 성과에서 소외되지 않습니다.
저비용 투자가 가능합니다. 일반 주식형 펀드는 물론 일반 인덱스 펀드보다도 운용보수가 낮습니다.
지수를 따라가기 때문에 불필요한 주식매매가 없어 수수료가 절약되고, ETF를 매도할 때는 일반 주식을 매도할 때 부과되는 거래세(0.3%)가 면제되어 거래비용이 낮아집니다.
운용내역을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ETF의 구성종목과 각 종목의 보유비중, 보유수량, 가격 등을 실시간으로 공개합니다.
보유한 주식들의 배당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며 그 내역을 거래소에 공시합니다.
ETF와 펀드의 차이점
투자과정의 차이
일반 펀드의 투자 과정
펀드에 투자하기 위해 투자자는 펀드를 판매하는 곳(증권사, 은행, 보험사)에 가서 현금을 납입하고 펀드 설정을 요청합니다.
그러면 판매사는 설정을 요청받은 펀드에 현금을 납입하고, 펀드의 수익증권이나 주권을 발급받아 다시 투자자에게 전달합니다.
ETF의 투자 과정
한편, ETF는 일반 펀드와는 달리 거래소를 통해서 투자가 이루어집니다.
ETF의 가장 큰 특징은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이 나누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발행시장(Primary Market)은 ETF가 설정 및 해지되는 시장이고, 유통시장(Secondary Market)은 이미 발행된 ETF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거래되는 시장을 말합니다. 시장참여자들에 의해 이 두 시장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ETF 상품을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게 됩니다.
발행시장에서는 지정참가회사(AP, Authorized Participant, 흔히 증권사가 그 역할을 함)가 펀드운용사로부터 직접 펀드를 사고 파는 설정 및 환매가 일어납니다.
단, 발행시장은 대규모 거래만 가능해서 기관투자자들이 이용합니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은 거래소를 중심으로 하는 유통시장에서 ETF를 매매하게 됩니다.
발행시장 (설정/환매)
유통시장 (매수/매도)
ETF VS 일반 펀드
구분 | ETF | 일반 펀드 |
---|---|---|
투자의 타이밍 | 투자자들은 장중시장가격을 참고하면서 시장가격에 매매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매매가격과 매매시점에 대한 의사 결정을 하고 직접 실행하게 됨 | 당일이 아닌 미래 날짜의 펀드의 순자산가치(NAV)에 따라서 설정/해지하는 방법으로 투자하기 때문에 자신의 투자가격을 모르는 상태에서 투자 의사 결정을 하게 됨 |
대주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매도 (Short Selling) | 주식과 같이 대주에 의한 매도가 가능 | 대주에 의한 매도 불가능 |
보수 | 일반 펀드에 비해 보수 낮음(0.5% 수준), 매매시에는 매매수수료 부담 | 보통 2% 수준 |
거래비용 | ETF는 현물로 설정/해지하기 때문에 펀드 내에서 설정/해지에 따른 매매 수수료 부담이 없음 | 설정/해지에 따른 거래 비용을 펀드의 투자자가 부담 |
시장충격비용 | 시장에서 형성되는 ETF의 매수/매도 호가간의 시장충격 비용이 있음 | 의사결정과 실행 간의 불일치로 인한 기회비용의 손실이 있음 |
왜 KODEX ETF인가?
KODEX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ETF 브랜드입니다.
한국시장 최초이자 가장 큰 규모로 명실공히 한국 대표 ETF 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ETF * 2020년 11월말 기준
대한민국 ETF 시장의 자산규모인 50조 원 중 27조 원이 삼성자산운용 KODEX ETF의 규모입니다.
KODEX의 대표 상품인 KODEX 200 ETF의 순자산총액은 5.8조 원으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큰 ETF 상품입니다.
개인/기관 투자자의 투자수단
개인투자자 뿐만 아니라 기관투자자도 활용하는 투자 수단으로서, 유동성이 매우 풍부하여 거래가 활발한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ETF입니다.
KODEX를 통해 다양한 자산에 손쉽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국내주식, 해외주식은 물론 채권, 원자재 등 KODEX ETF를 통해 투자할 수 있는 자산은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투자성향에 잘 맞는 자산을 선택하여 투자할 수 있고,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도 갖추고 있어 시장상황에 따라 알맞은 투자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다양한 스마트베타 ETF를 출시하여 패시브 투자의 한계를 뛰어넘는 팩터 투자도 가능합니다.
KODEX는 날마다 투자자에게 더 쉽고 스마트하게 투자할 수 있는 이정표를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제시하고 있습니다.
※ 홈페이지 상단에 있는 전체상품 한눈에 보기를 클릭해보세요.
KODEX에는 삼성자산운용의 오랜 ETF 운용 노하우가 함께 합니다.
정확한 지수 추적을 통한 확실한 목표 달성 추구
KODEX ETF는 각 지수의 특성에 맞게 완전복제 방법(Full-replication)과 최적화 방법(Optimization)을 병행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체계적이고 계량적인 방법으로 지수를 추적하여 명확한 목표 달성을 추구합니다.
완전복제 방법은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을 지수 비중대로 맞추어 ETF 펀드에 편입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최적화 방법은 완전복제 방법과는 달리 지수 구성과 일치하지 않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는데, 주로 종목 수가 많거나 몇몇 구성 종목의 유동성이 떨어질 경우에 사용합니다. 최적화 방법은 지수 구성과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수 수익률보다 높거나 낮은 수익률의 변동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삼성자산운용 KODEX ETF 시리즈는 MSCI Barra 모델을 이용한 계량적인 분석으로 지수 수익률에 대한 변동성을 엄격히 관리합니다.
시기적절한 이벤트 대응과 충실한 분배금 지급
KODEX ETF의 추적지수들은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구성종목이나 종목별 주식수가 변경됩니다.
그리고 각 구성종목마다 주식수의 변화(신규상장, 증자, 감자)나 거래여부 및 비중조정(합병, 분할, 등록폐지) 등의 요인이 되는 각종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KODEX ETF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시기적절한 대응으로 이러한 지수의 변화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수정합니다. 또한, 기업들이 주주에게 지급하는 배당금을 받아 두었다가 투자자분들께 충실하게 전달합니다.
지수변화이벤트에 대한
대처와 배당 등의 분배금 처리
구성종목 이벤트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충실한 분배금 지급
주식대여 등 기타수익을 통한 보수 상쇄
KODEX ETF는 인덱스 펀드이므로 일반 주식형 펀드에 비해 매매의 빈도와 회전율이 적어 주식을 장기 보유하게 됩니다.
이렇게 장기 보유한 주식은 한국예탁결제원 등을 거쳐 기관투자자들에게 활발하게 대여하고 있으며, 여기서 발생하는 수수료(연 0.1~4%)는 KODEX ETF의 수익이 됩니다.
KODEX는 주식대여를 통해 운용보수의 상당부분을 상쇄하여, KODEX 투자자에게 최대한의 가치를 제공해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KB STAR ETF 로고
ETF는 추종하는 지수의 구성종목들로 펀드를 구성하기 때문에 ETF를 매수하면 지수 구성종목 전체를 매수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TF는 여러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펀드의 장점과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주식의 장점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ETF의 장점
일반적인 펀드에 비해 ETF는 운용보수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매매 시 증권거래세가 부과되지 않아 거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ETF는 기존의 주식거래계좌를 이용하여 손쉽게 투자할 수 있으며 거래소에 상장되어 일반주식과 같이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합니다.
ETF의 시장가격은 기초지수의 움직임을 충실히 반영할 뿐만 아니라 펀드를 구성하고 있는 주식 내역과 순자산 가치를 매일 공표하기 때문에 상품의 투명성이 높습니다.
단 1주만 보유해도 각 ETF상품을 구성하는 모든 종목의 성과를 그대로 누릴 수 있어 소액 투자로도 분산 투자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거래소와 함께하는 ETF이야기
ETF의 이해
ETF의 장점
ETF 투자방법
ETF 투자지표
ETF 투자위험
레버리지/인버스상품 투자위험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라 YTM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데 이를 실시간YTM이라고 함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