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경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2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북한 화물트럭이 중국 단둥에서 조중우호교로 들어서고 있다.

DBpia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간편 교외 인증 이벤트 응모

[KIEP] 오늘의 세계경제

  • 저널 데이터
  • 권호리스트.검색
  • 많이 이용된 Top10 논문
  • 최근 해외경제 발간된 논문
  • 논문이 많이 이용된 Top9 저자
  • 논문을 많이 발행한 Top9 저자
  • 논문을 많이 이용한 기관
  • 저널 인용정보
  • ㈜누리미디어 대표이사: 최순일 사업자등록번호: 816-81-00840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2-서울마포-2210호 대표전화: 02-707-0496 팩스: 02-717-4305
  • 이메일: [email protected] 주소: (0399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9길 22-16

Copyright (c) 1997-2021 NURIMEDIA. ALL RIGHTS RESERVED.

DBpia와 구독·저작권 계약, 기타 제휴를 원하시면 해당 부서로 연락 바랍니다.

담당부서 : 영업기획팀 (4년제 대학교, 해외 도서관, 공공기관, 국책연구원, 기업, 전문대학 등) [email protected]

혹시 재학/재직 중이신가요? 소속기관의 DBpia 구독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

  • DBpia와 구독 계약을 맺고 있는 학교, 공공기관, 기업 소속이시면 기관인증을 통해 논문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인증 후 DBpia 로그인하시면 90일간 인증 상태가 유지됩니다.

ex) 한국대학교, 한국고등학교, 시립도서관, (주)누리자동차 등

소속기관이 없으시면 DBpia를 구독 중인 주변 공공도서관을 찾아보세요


- DBpia 구독 중 입니다

소속 회원 / 학생 / 교직원 인증

기관(도서관)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경우 인증 가능합니다

대표 계정 인증

초·중·고, 기업 등의 기관 담당자에게 부여됩니다.
해당 계정은 행정실, 수서실 등에 문의하세요

내부 방문시 자동 기관인증 가능합니다

기관 내부 해외경제 PC, 와이파이로 접속해보세요!
단, 장소에 따라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자주묻는 질문 - 내부 방문시 자동 기관인증

도서관 내부에서 이용하는데도, 기관인증이 안되고 있어요 자주묻는 질문 콘텐츠내용보기

도서관 인터넷 망이 아닌 핫스팟 및 에그 등을 사용하고 계신건 아니신가요?
도서관 내부에서 이용하실 경우, 도서관 PC 혹은 와이파이를 이용해야 합니다.

또한 이용가능 구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x. 전자자료실에서만 이용 가능 등)
도서관 담당자에게 해당 구역에서 이용 가능한 지 문의하여 확인 후 이용바랍니다.

기관외부에서 이용하고 싶어요 자주묻는 질문 콘텐츠내용보기

기관인증된 상태에서 화면 상단의 [로그인]을 클릭하여 DBpia에 로그인 하실 경우
해당 계정에 기관인증 상태가 90일간 유지되게 됩니다.

정부 경상수지와 외환 집중 모니터링 한다, 추경호 “시장교란 엄정대응

▲ (왼쪽부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주현 금융위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5일 오전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시작에 앞서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상수지 변동성이 당분간 커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외환 수급 상황을 면밀히 들여다보겠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5일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경상수지와 내외국인 자본흐름 등 외환수급 여건 전반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정책 방안 등도 지속해서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추석 연휴 기간에도 관계기관 합동대응체계를 가동해 해외 금융·외환시장 및 실물경제 상황을 실시간 점검하고 해외경제 신속히 대응해 나가는 한편 시장 교란 행위에 대해서는 적기에 엄정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오르고 있는 상황은 대외적 경제 여건이 악화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추 부총리는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의 확대는 주로 대외여건 악화에 기인한다”며 “달러화가 20년 만에 최고치까지 상승한 영향으로 주요국 통화 모두 달러화 대비 큰 폭의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고 진단했다.

다만 추 부총리는 “높아진 환율 수준과 달리 대외건전성 지표들은 큰 변화 없이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대표적 국가 신용 위험도 지표인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7월 이후 하락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물가 안정을 위해 정책 역량을 모으겠다는 뜻도 밝혔다.

추 부총리는 “최근 물가 오름세가 완화된 점은 다행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 지속되고 장마에 이은 태풍 등 기상 악화 영향 등도 우려된다”며 “물가·민생 안정을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추 부총리를 포함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조승리 기자

과거에는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해당 국가에만 국한되어있었지만, 세계가 경제적으로 하나의 공동체가 되어가면서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주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해외재난의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 재난 발생 시에 국내 경제 발생할 수 있는 파급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중국 사례를 기반으로 해외재난시나리오를 만들었으며, 투입계수를 통해 국내에 발생할 수 있는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해외재난시나리오를 통해서 파급효과를 산정한 결과, 직접피해의 경우에는 GDP의 0.08% 수준이었으며 간접피해까지 추가한 총 피해액은 0.39%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해외 재난이 국내 경제에 큰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past,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was limited to the country directly affected, but as the world becomes one economic community, instances of damage spreading to other countries are increasing. Nonetheless,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ripple effect of foreign disaster.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ripple effect on the domestic economy from foreign disaster, using a disaster scenario based on cases of China. The ripple effect was quantitatively calculated using an industry input coeffici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direct damage was 0.08% of Gross Domestic Product (GDP), and the total amount of damage (including indirect damage) was 0.39% of GDP, thus demonstrating that foreign disaster could cause great damage to the domestic economy.

키워드 열기/닫기 버튼

Oversea Disaster, Domestic Economy, Industry Input Coefficient, Ripple Effect

피인용 횟수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0건 입니다.

참고문헌 (24) 열기/닫기 버튼 * 2020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논문 인용하기 닫기

해외 재난 발생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TY - JOUR
AU - 김경훈
AU - 정재원
AU - 배영혜
AU - 이준형
AU - 김형수
TI - 해외 재난 발생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해외경제 분석: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T2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JO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PY - 2021
VL - 21
IS - 6
PB - 한국방재학회
SP - 323
EP - 331
SN - 1738-2424
AB - In the past,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was limited to 해외경제 the country directly affected, but as the world becomes one economic community, instances of damage spreading to other countries are increasing. Nonetheless,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ripple effect of foreign disaster.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ripple effect on the domestic economy from foreign disaster, using a disaster scenario based on cases of China. The ripple effect was quantitatively calculated using an industry input coeffici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direct damage was 0.08% of Gross Domestic Product (GDP), and the total amount of damage (including indirect damage) was 0.39% of GDP, thus demonstrating that foreign disaster could cause great damage to the domestic economy.
KW - Oversea Disaster, Domestic Economy, Industry Input Coefficient, Ripple Effect
DO - https://doi.org/10.9798/KOSHAM.2021.21.6.323
ER -

김경훈, 정재원, 배영혜, 이준형 and 김형수. (2021). 해외 재난 발생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1(6), 323-331.

김경훈, 정재원, 배영혜, 이준형 and 김형수. 2021, "해외 재난 발생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6 pp.323-331. Available from: doi:https://doi.org/10.9798/KOSHAM.2021.21.6.323

김경훈, 정재원, 배영혜, 이준형, 김형수 "해외 재난 발생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중국 해외경제 해외경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1.6 pp.323-331 (2021) : 323.

[북한 물가] 세계경제 침체 우려와 북중 무역 실태

Share on WhatsApp

[북한 물가] 세계경제 침체 우려와 북중 무역 실태

북한 화물트럭이 중국 단둥에서 조중우호교로 들어서고 있다.

오디오 오디오 (다운받기)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 - 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 이 시간에는 북한의 시장 활동과 대외 무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가 정보와 주요 환율 시세를 전해드립니다 .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세계 물가 상승 을 억제하기 위한 각국이 움직이고 있지만, 둔화 움직임은 확실히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 오히려 세계경제의 3 대축인 미국과 중국 유럽 경제가 내년도 침체에 빠질 확율이 높아보인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지적했습니다 .

미국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이 아직 확실히 잡히지 않았다고 보고 9 월에 다시 한번 큰 폭의 금리 인상을 예고했습니다 .

제롬 파월 미연준의장은 지난 8 월 27 일 ( 현지시간 )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 및 경제전문가 회의에서 한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이 2% 로 하락할 때까지 고금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 7 월 8.5% 로 6 월의 9.1% 보다는 약간 낮아졌지만 , 인플레이션이 아직 완전히 잡히지 않았다고 판단해 은행금리를 더 올리겠다는 의지로 해석되었습니다 .

세계 물가 상승의 기본 원인은 원유가격의 상승입니다. 원유는 모든 산업의 연료와 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원유가격이 오르면 전반적인 물가를 끌어올리게 되는 것입니다 .

때문에 원유 가격이 확실히 떨어져야 물가가 잡힌다는 통계가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를 비롯해 원유를 생산하는 국가들은 원유증산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

8 월 31 일 기준 서부텍사스산 원유가격은 1 배럴당 90 달러를 밑돌고 있습니다 . 이는 2020 년 1 월의 20 달러대에 비해 4 배 이상 폭등한 가격입니다 .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긴축 정책, 즉 시장에 풀린 돈을 회수하고 금리를 대폭 인상하고 있지만 , 중국은 반대로 1 조위안 (1449 억달러 ) 의 산업기반시설(인프라) 투자를 발표했습니다 .

습근평( 시진핑 ) 중국 국가주석의 3 기 집권을 앞두고 발표된 대규모 돈풀기는 현재 침체에 빠진 중국경제를 부양하기 해외경제 위한 지적도 있습니다 .

중국경제는 현재 부동산 침체와 제로코로나정책으로 인한 공급망 혼란, 그리고 60 년만에 최악의 폭염으로 인해 정전사태가 잇따르는 등 악재가 발생해 침체 위기에 직면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

유럽 경제도 침체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8 월 31 일 로이터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 (WSJ) 등에 따르면 유럽연합 (EU) 통계 당국인 유로스타트는 유로존의 8 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9.1% 올랐다고 발표했습니다 .

유럽중앙은행(ECB) 은 물가를 잡기 위해 여러번 금리를 올렸으나 , 식품 , 에너지 등 전반적인 물가가 꺽이지 않아 고민이 클 것이라고 외신은 전했습니다 .해외경제

유럽연합은 러시아산 원유와 천연가스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현재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가 에너지 정책을 바꾸지 않는 한 고물가의 ‘올가미’에서 쉽게 벗어나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최근 러시아의 국영가스업체인 가즈프롬이8 월 말에 3 일 동안 유지 해외경제 보수를 위해 독일로 향하는 ‘노드 스트림’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막을 것이라고 밝히자 , 유럽에서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유럽으로 향하는 가스 밸브를 잠그는 방법으로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제재하고 있는 유럽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

한편, 북한과 중국의 7 월 무역액이 전달보다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지난 8 월 18 일 공개된 중국 세관격인 해관총서 자료에 따르면 7 월 북 - 중 교역액은 7,272 만 달러로 6 월에 비해 230 퍼센트 증가했습니다 .

남한의 시사뉴스에 따르면 북한은 이 기간동안 중국에서 쌀 1 만톤을 수입했습니다 . 북중무역액은 2020 년 코로나 발병이후 급감했으나 , 올해 1 월 북중열차운행이 재개되면서 회복세로 돌아섰습니다 . 하지만 , 북한이 지난 5 월 코로나 발병을 공식 인정하면서 북중열차 운행이 중단되면서 다시 감소했습니다 .

현재 해외경제 북한은 북중 열차운행 재개를 추진하고 있지만, 중국정부가 단동세관 통관 개시를 승인하지 않아 지연되고 있다고 대북무역관계자들이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

다음은 국제 환율 및 주요 물가 시세입니다.

8 월 31 일 미국 외환시장 (https://www.x-rates.com) 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 대 6.85 입니다 . 달러대 유로화는 1 대 1, 달러대 일본 엔화는 1 대 136.9 엔입니다 .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 대 1,337 원이고 , 한국 돈과 중국 돈의 환율은 100 만원당 5 천 128 위안입니다 .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 8 월 21일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순금 1 트로이 온수 (troy ounce) 당 가격은 , 즉 31.1 그램은 1,761 달러입니다 .

한편 8 월 31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 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 (WTI) 는 1 배럴 (158.9 리터 ) 당 94 달러 , 중동산 두바이유는 96.46 달러 ,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 배럴당 100 달러입니다 .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