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지수 선물
■ 코스피 200 지수 선물 개념 및 의의
ㅇ 코스피200 지수 선물
- 코스피 200 지수를 대상으로 하는 선물상품으로서, ’96.5월 상장된 국내 최초의 장내파생상품
■ 코스피 200 지수 선물 지표 의의 및 활용도
ㅇ 동 통계 는 국내 장내선물시장의 대표 상품인 코스피 200 지수 선물의 거래규모와 관련된 통계임
- 일평균 계약수 및 일평균 계약금액은 선물 거래규모 및 거래추이를 파악하는데 이용
* 계약금액은 명목거래금액으로 실제 거래대금을 수수하는 주식시장(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과 차이가 있어,
거래규모의 단순 비교는 곤란함
- 국가채권추이 의미분석 : e-나라지표
ㅇ 코스피200선물거래 추이
- 상장 후 거래가 꾸준히 증가하다가 ’01년부터 주식시장의 변동성 상승 및 개인 투자자의 적극적인 시장 참여로 11년까지 거래규모가 증가하였으나 '12년 이후 예탁금규제 강화 등으로 감소세
- 20 08년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로 변동성이 확대되어 거래량 견조한 증가세
- 2011년 : 계약건수 347,436건으로 전년 2010년 대비 120,370(53%)건 증가
- 2012년 : 하반기들어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임
- 2013년 : 일평균계약수가 점차 하락하다가 10월에 반등하여 상승하는 추세이며, 일평균계약금액에는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14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이 1월부터 7월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8월에 반등하여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10월에 고점을 찍고 다시 하향
- 2015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16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이 1월부터 5월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6월에 반등한 후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17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18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19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20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2021년 : 일평균계약수 및 일평균계약금액의 별다른 추세가 보이지 않음
- '19.5월 발표한 「혁신성장과 실물경제 지원을 위한 파생상품시장 발전방안」 등을 지속 추진하여 파생상품 시장을 활성화해 나갈 계획
주가지수 선물
제목 [1996.05.03] 증권거래소, 주가지수 선물시장 개장
설명 ▶배경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는 선물환 거래 이외에는 파생금융거래와 관련된 별다른 시장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선물환은 대외거래와 관련한 환율변동 위험 헤지 필요성 등으로 거래가 상대적으로 일찍 발달했으며 이후 금리스왑, 옵션 등으로 거래 범위가 확대되었다.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금융자율화 및 개방화의 진전에 따른 금융시장 가격변수의 변동성 확대로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관련 법규 및 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짐에 따라 주가지수 및 금리 관련 거래제도가 도입되고 거래량도 빠르게 중가하면서 파생금융상품시장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경과 우리나라에서 파생금융상품은 1968년 외국환은행에 대해 선물환거래가 일부 허용되면 서 처음 거래되었다. 1984년에는 금리스왑,1987년에는 선물·선도 금리계약 등이 허용되었다. 그러나 실제 거래는 외국은행 국내지점을 통해 일부 이루어지는 정도에 그쳤다. 파생금융상품의 장내시장은 1987년 11월 「증권거래법」 개정을 통해 증권거래소 업무에 선물 시장 개설업무를 포함시킴으로써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어 1993년 5월에 발표된 신 경제 5개년계획(금융개혁부문)에 따라 증권거래소 주가지수선물시장의 1996년 개설이 확정되었고, 1993넌 12월의 「증권거래법」 개정에서 주가지수 등을 유가증권으로 의제하고 유가증권선물 거래를 유가증권의 매매거래로 의제하는 등 선물거래를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되었다. 그리고 증권거래소는 1994년 6월 KOSPI200 지수를 발표하였고 1995년 4 월부터 주가지수선물 모의시장을 운영하였다. 정부는 1995년 12월 주가지수선물시장 개설 방안을 확정하고,1996년 3월 ‘주가지수선물거래업무규정’ 및 동 규정 시행세칙, ‘주가 지수선물수탁계약준칙 및 시행세칙’을 제정하고 주가지수선물 거래업자를 허가하였다. 이후 동년 5월 최초로 증권거래소에 KOSPI200 지수를 대상으로 주가지수선물 거래를 실시하였고, 1997년 7월에는 주가지수선물과 동일한 기초자산을 대상으로 KOSPI200 옵션시장을 개설하였다.
제목 [1996.05.03] 증권거래소, 주가지수 선물시장 개장
설명 ▶배경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는 선물환 거래 이외에는 파생금융거래와 관련된 별다른 시장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선물환은 대외거래와 관련한 환율변동 위험 헤지 필요성 등으로 거래가 상대적으로 일찍 발달했으며 이후 금리스왑, 옵션 등으로 거래 범위가 확대되었다.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금융자율화 및 개방화의 진전에 따른 금융시장 가격변수의 변동성 확대로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관련 법규 및 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짐에 따라 주가지수 및 금리 관련 거래제도가 도입되고 거래량도 빠르게 중가하면서 파생금융상품시장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경과 우리나라에서 파생금융상품은 1968년 외국환은행에 대해 선물환거래가 일부 허용되면 서 처음 거래되었다. 1984년에는 금리스왑,1987년에는 선물·선도 금리계약 등이 허용되었다. 그러나 실제 거래는 외국은행 국내지점을 통해 일부 이루어지는 정도에 그쳤다. 파생금융상품의 장내시장은 1987년 11월 「증권거래법」 개정을 통해 증권거래소 업무에 선물 시장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개설업무를 포함시킴으로써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어 1993년 5월에 발표된 신 경제 5개년계획(금융개혁부문)에 따라 증권거래소 주가지수선물시장의 1996년 개설이 확정되었고, 1993넌 12월의 「증권거래법」 개정에서 주가지수 등을 유가증권으로 의제하고 유가증권선물 거래를 유가증권의 매매거래로 의제하는 등 선물거래를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되었다. 그리고 증권거래소는 1994년 6월 KOSPI200 지수를 발표하였고 1995년 4 월부터 주가지수선물 모의시장을 운영하였다. 정부는 1995년 12월 주가지수선물시장 개설 방안을 확정하고,1996년 3월 ‘주가지수선물거래업무규정’ 및 동 규정 시행세칙, ‘주가 지수선물수탁계약준칙 및 시행세칙’을 제정하고 주가지수선물 거래업자를 허가하였다. 이후 동년 5월 최초로 증권거래소에 KOSPI200 지수를 대상으로 주가지수선물 거래를 실시하였고, 1997년 7월에는 주가지수선물과 동일한 기초자산을 대상으로 KOSPI200 옵션시장을 개설하였다.
'애그플레이션' 완화 기대 속 미 주가지수 선물 상승. 다우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450포인트↑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이번 주 첫 개장일인 21일(현지시간) 미 주가지수 선물이 상승하고 있다.
최근 철광석과 구리 등 원자재 가격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애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완화될 조짐이 있다는 블룸버그 통신의 보도에 인플레이션이 꺾일 거라는 기대 속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걸로 풀이된다.
![]() |
우크라이나의 밀밭 [사진=로이터 뉴스핌] |
미국 동부 시간으로 6월 21일 오전 8시 기준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S&P500 선물(이하 E-mini)은 직전 종가보다 1.65% 오른 3736.25포인트를 가리키고 있다. 같은 시각 다우지수 선물은 1.51%(451포인트), 나스닥100 선물은 1.63% 각각 상승 중이다.
국내 최고의 해외투자 뉴스 GAM
지난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 결정 직후 반등했던 뉴욕 증시는 다음날 이내 하락세로 돌아서며 2년 만에 만에 최악의 한 주를 보냈다. 다우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지난주 주 각각 4.8%, S&P500 지수는 5.8% 떨어졌다.
직전일인 20일 미국 금융시장이 노예해방기념일 대체 휴일로 휴장한 가운데, 주말에는 연준 관계자들의 매파 발언이 이어졌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18일 댈러스 연방은행이 주최한 콘퍼런스에 참석해 7월 75bp의 추가 금리 인상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20일에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1970년대 수준과 비슷하다고 밝히며 연준이 시장 기대에 부합하는 긴축 행보를 이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불러드 총재는 7월 FOMC에서 기대하는 금리 인상폭을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연준이 통상의 금리 인상폭인 25bp를 넘는 금리 인상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면서 국채 금리도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상승 압력을 받고 있다. 현재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장 대비 5.3bp(1bp=0.01%포인트) 오른 3.292%, 2년물 금리는 5.1bp 상승한 3.217%를 가리키고 있다.
아담 크리사풀리 바이탈날리지 창립자는 CNBC에 "이날의 주가 상승이 최근 다른 랠리와 마찬가지로 데드캣바운스(자산 가격이 급락 후 임시로 소폭 회복된 것을 의미)라는 견해가 대세지만, 인플레이션에 변화가 오고 있다고 보기 때문에 (우리는) 그런 견해에서 한발 후퇴한다"고 밝혔다.
그는 원유 증산을 요청할 목적으로 예상되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사우디 방문을 앞두고 브렌트유 가격이 최근 최고치 대비 10달러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철광석과 구리 가격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에 주목했다.
그러면서 "원자재 가격이 하향세를 이어가면 주식시장을 짓누르던 요인이 하나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이날 블룸버그 통신은 인도네시아의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재고 증가로 팜유 수출이 빠르게 재개되고 있는데다, 러시아의 밀 작황이 기록적인 수준이어서 생산량 전망치가 상향되고 있다며 '애그플레이션'이 완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런던ICE거래소에서 브렌트유 선물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가격은 전장보다 1.31% 오른 115.62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가격은 1.92% 상승한 110.06달러를 가리키고 있다. 이달초 120달러까지 오른데서 10% 가량 빠졌다.
투자자들은 한국시간으로 오후 11시 발표가 예정된 미국의 5월 기존 주택 판매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또 이날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와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의 연설도 예정돼 있으며, 오는 22~23일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상·하원 증언이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예정돼 있다.
ScienceON Chatbot
주가지수 차익거래가 주식시장 및 주가지수 선물시장의 수익률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A Study on the Effects of Index Arbitrage Trades on Return Volatilities in the Spot Market and Index Futures Market
본 연구는 프로그램매매가 주가지수 선물시장 및 현물 주식시장의 수익률 변동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일중 수익률 및 프로그램매매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서 관찰된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선진국 시장에서 보고된 결과와 일치하였다. 우선 프로그램매매가 증가할수록 현물 주식시장에서의 변동성은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물시장에서는 그러한 일관성 있는 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프로그램매매 발동 직후 선물 및 현물시장의 수익률은 반전현상을 나타냈으며 특히 현물시장의 가격변화가 선물시장에 비해서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물시장과 현물시장에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있어서의 가격반전 현상이 시장 유동성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선물만기일과 같이 특정시간대에 프로그램매매가 집중되지 않는 한 경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프로그램매매 특히 차익거래는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간의 균형 관계가 일시적인 수급상황에 따라 이발될 경우 이를 다시 균형 상태로 회복시켜 줌으로써 시장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주요한 연결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두 시장간의 균형 상태는 선물 시장보다는 현물 주식시장에서의 활발한 매매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국내시장에서 차익거래는 시장의 위험을 증대시키는 부정적인 측면보다는 시장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순기능이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