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 시스템을 (sinho siseutem-eul) Meaning in English - English Translation
Examples of using 신호 시스템을 in a sentence and their translations
used in the future to create a smart traffic light system and also to decide what kind of roads should be built
used in the future to create a smart traffic light system and also to decide what kind of roads should be built
The newer ATC signaling was designed to higher safety standards but the block layout in the downtown area
If you w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cellular communication at home in the office or in the country then the most convenient and effective method-
See also
Word by word translation
Phrases in alphabetical order
Korean - English
English - Korean
Conjugation Contact About Privacy Policy Tr-ex.me 에서 이진 신호의 유형 한국어 Thanks
and required to achieve the purposes illustrated in the cookie policy. If you want to know more or withdraw your consent to all or some of the cookies, please refer to the cookie policy .
By closing this banner, scrolling this page, clicking a link or continuing to browse otherwis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pt-Out of the sale of personal information
We won't sell your personal information to inform the ads you see. You may still see interest-based ads if your information is sold by other companies or was sold previously. Opt-Out Dismiss
데이터통신 (chapter3.2)
전송(transmission) : 신호 전파와 처리를 통한 데이터의 통신이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데이터
아날로그 데이터(analog data) : 어떤 구간에서 연속적인 값을 갖는다. ex) 음성과 영상 -> 세기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모양을 가짐.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대부분의 데이터, 즉 온도, 압력 등은 연속적인 값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 이산적인 값을 가짐. 텍스트나 정수가 그 예
- 음성 데이터 -> 인간에 의해 직접 감지될 수 있는 음파의 형태.
- 비디오 -> TV 카메라에 의해 기록되는 원래의 장면(발신자)이 아닌 TV화면(목적지)으로 비디오 데이터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쉽다. 화면상의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 전자빔이 화면의 표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 위에서 아래로 지난다. 빔이 이진 신호의 유형 지나감에 따라 이 아날로그 값은 변화. 그러므로 비디오 영상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볼 수 있다.
- 문자열 -> 텍스트 데이터가 인간에게는 매우 편리한 반면, 데이터 처리 및 전송 시스템에서는 문자 단위로 쉽게 저장되고 전송되지 않는다. 그러한 시스템은 이진 데이터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다. 문자를 비트열로 나타내는 다양한 코드들 고안. 가장 초기 모스코드, 최근 IRA(International Reference Alphabet)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전자기 신호에 의해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전파된다.
아날로그 신호 -> 다양한 스펙트럼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전파될 수 있는 연속적인 전자기파
디지털 신호 -> 유선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전압 펄스의 열로 구성 ex) 일정한 크기의 양의 전압은 0을, 음의 전압은 1로 나타냄
ex) 음성 입력의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음성 -> 주파수 범위가 20HZ ~ 20kHZ 이러한 형태의 정보 -> 전송을 위한 전자기파로 쉽게 변환.
음성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는 원래의 음성과 동일한 스펙트럼을 갖는 전자기 신호로 직접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기적으로 전송되는 소리의 음질과 대역폭이 증가할수록 비싼 전송 비용 사이에는 어떤 절충이 필요.
비디오 신호 -> TV 수상기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TV 카메라가 사용.
이진 데이터의 경우 -> 단말기, 컴퓨터 및 기타 데이터 처리장치들에 의해 생성되어 전송을 위한 디지털 전압펄스로 변환된다.
데이터와 신호
아날로그 데이터 -> 시간의 함수, 제한된 주파수 스펙트럼 영역을 갖음. 그러한 데이터는 동일한 스펙트럼 영역을 갖는 전자기 신호로 표현 가능. 디지털 데이터는 2개의 이진수 값을 나타내기 위해 2개의 다른 전압을 갖는 디지털 신호로 표현 가능 그러나
디지털 데이터는 모뎀을 이용해 아날로그 신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모뎀은 디지털 데이터를 반송 주파수(carrier frequency)로 인코딩함으로써 일련의 이진 전압 펄스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결과 생성되는 신호는 반송파를 중심으로 하는 스펙트럼을 갖게 되어, 그 반송파(carrier)에 적합한 전송 매체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가장 흔한 모뎀은 디지털 데이터를 음성 스펙트럼 내에서 표현하여, 이 데이터가 보통의 음성급 전화 회선을 통해 전파될 수 있게 해준다. 회선의 다른 끝에도 모뎀이 있어, 이 신호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시킨다.
모뎀의 동작과 매우 유사하게 아날로그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음성 데이터에 대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코덱이다.
기본적으로 코덱은 음성 이진 신호의 유형 이진 신호의 유형 데이터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신호를 비트열로 근사시킨다. 수신측에서는 이 비트열이 아날로그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사용된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전송
아날로그 전송 : 내용물과는 무관하게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것.
신호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나타낼 수도 있고, 디지털 데이터를 나타낼 수도 있다. 어느 경우라도 아날로그 신호는 어떤 거리를 지나면 그 세기가 감쇄하게 된다. 장거리의 전송을 아날로그 전송시스템은 신호의 세기를 키워주는 증폭기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증폭기 **-> 잡음 성분까지도 증폭한다.
반대로 디지털 전송 -> 신호의 내용물에 관심을 둔다.
디지털 신호는 감쇄, 잡음, 기타 손상 요인이 데이터의 무결성을 위협하지 않을 정도의 거리에서만 전송이 가능 보다 장거리의 전송을 위해서는 리피터가 사용 리피터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이들로부터 0과 1을 복원한 다음, 새로운 신호를 만들어 전송한다. 이로써 감쇄 현상을 극복 가능
어떤 전송법을 선택할 것인가? 자연스러운 의문 제시. 통신 사업자나 그 고객들이 제시하는 해답 -> 디지털. 가능한한 디지털 전송으로 전환되는 추세
(디지털 : 가격 지속적 낮아짐, 데이터 무결성(증폭기 대신 리피터 사용, 잡음과 같은 신호 손상에 영향 누적 x, 전송 용량의 활용- 광대역 전송 링크 구축이 경제적, 보안과 프라이버시- 암호화 기법 쉽게 적용 가능, 통합: 아날로그와 디지털 데이터 모두 취급)
3.3 전송 손상
- 감쇄(attenuation) 및 감쇄 왜곡(attenuation distortion)
- 지연 왜곡(delay distortion)
- 잡음(noise)
신호의 세기는 전송 매체를 통과하는 거리에 따라 점점 약해진다.
감쇄 현상에 대한 3가지 고려 사항
- 수신 신호는 수신기의 전자 회로가 신호를 인지하고 해독하기에 충분한 세기를 가져야 한다
- 오류 없이 수신이 가능할 정도로 잡음에 비해 충분히 큰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 감쇄는 주파수에 따라 변한다
지연 왜곡은 주로 유도 전송 매체에서 신호 전파 속도가 주파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어떤 데이터의 전송의 경우에나 수신 신호는 전송 시스템에 의해 왜곡이 포함되고 수신측과 송신측 사이의 전송 과정에서 불필요한 신호가 추가된다. 후자의 불필요한 신호를 잡음이라고 한다.
열잡음 : 전자의 열 교란으로 인한 것. 열잡음은 모든 전자 장치와 전송 매체에서 발생하며 온도의 함수이다.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고르게 분포되므로, 흔히 백색 잡음이라고도 한다.
상호 변조 잡음 :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들이 동일한 전송매체를 공유할 때 상호 변조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상호 변조 잡음은 수신측이나 송신측, 혹은 전송 매체 시스템에 있는 비선형성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상적인 경우 전송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은 선형 시스템을 이루어야 한다. 즉, 시스템의 출력은 입력의 상수배가 되어야 한다.
누화(crosstalk) : 이진 신호의 유형 전화를 사용할 때 다른 사람의 대화를 자기가 듣는 상태와 유사하다. 이것은 신호의 경로가 비정상적으로 결합된 경우에 발생한다.
지금까지 언급한 잡음들은 합리적으로 예측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므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전송 시스템의 설계가 가능하다. 그러나 충격잡음(impulse noise)은 비연속적이고 불규칙적인 진폭을 가지며, 짧은 순간 동안 큰 세기로 발생하는 잡음이다.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번개와 같은 외부적인 전자기적 충격이나 통신 시스템에서의 결함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진 신호의 유형
이영두 울산대학교 전기공학부 연구교수 [email protected] | 2021-06-15 00:00:04 --> 과학 / 이영두 울산대학교 전기공학부 연구교수 / 2021-06-15 00:00:04
생활 속의 자연과학![]() |
▲ 다양한 형태의 파형. ©위키백과 |
전기는 기본적으로 에너지이자 신호로 사용된다. 신호는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이자 수단을 의미하는데, 전기가 신호로 사용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출퇴근 시간을 떠올려보자. 도로 위에 차가 가득하다. 이 많은 차들이 복잡하게 교차하고 엮여 있는 도로 위를 사고 없이 서로 규칙을 갖고 이동할 수 있는 것은 교통 흐름을 제어하는 신호등이 있기에 가능한 이진 신호의 유형 것이다.
보통 신호등에서 사용되는 색깔은 빨간색, 녹색, 노란색이며 각각 일정한 의미를 지닌다. 화살표도, 깜빡임도 신호등의 기능으로 사용된다. 다양한 신호등의 신호(signal)를 제어하는 것은 바로 전기다. 전기가 어떤 색깔의 램프를 켜고(on) 끔(off)으로써 교통신호가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전기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생성하는 접근법이다. 전기의 흐름을 제어한다는 것은 전기를 흐르게 하거나 또는 흐르지 않게 함으로써 대상이 되는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하지 않는 원리에 기반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보자. 전기회로에서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를 스위치(switch)라고 한다. 끊어져 있는 2개의 전선을 붙였다(닫힘) 떨어뜨렸다(열림) 하며 전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장치다. 집에서 늘상 보는 전등 스위치가 대표적인 예다. 전기 스위치는 접점(contact)이라고도 하는데 크게 일반 닫힘과 일반 열림의 2가지 유형이 있다. 일반 열림은 스위치를 누르지 않았을 때는 끊어진 상태고,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연결되는 상태가 되는데, a접점 또는 NO(Normally Open)라고 한다. 일반 닫힘은 일반 열림과 반대로 스위치를 누르지 않았을 때는 연결 상태, 눌렀을 때는 끊어진 상태가 되며, b접점 또는 NC(Normally Closed)라고 한다. 바로 이러한 2가지 유형의 스위치(접점)을 이용해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전기회로 흐름제어의 기본적인 원리라 할 수 있다.
전기를 신호로 사용하는 또 다른 대표적인 방식은 전기의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 변화를 제어해 심볼(symbol)이라고 부르는 특정한 파형(wave shape)을 만들고(그림 참조), 각 파형에 데이터값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5V 전원을 사용하는 회로에서 5V는 1을, 0V는 0이라는 값을 나타내는 식이다. 따라서 하나의 심볼로 많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구분 가능한 더 많은 심볼의 수가 필요하다. 이진(binary) 데이터를 기준으로 보면, 0 또는 1의 값을 갖는 1개의 데이터를 비트(bit)라고 하며, 1비트는 2개의 심볼을 요구한다. 따라서 데이터 비트의 수가 1 증가할 때마다, 2배의 심볼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안전성과 효율성 등을 이진 신호의 유형 고려해 전압 기반의 심볼 신호를 사용한다. 데이터 전송으로서 전기를 이렇게 이용할 때 전선을 사용하면 유선통신, 전파를 사용하면 무선통신으로 불린다.
일련의 기능과 동작을 수행하는 모든 시스템은 구동을 위한 에너지와 제어를 위한 신호를 필연적인 요소로 지닌다. 이전의 에너지들은 대부분 이 2가지가 분리돼 있었다. 제분기로 사용하는 물레방아를 생각해 보자. 물레방아는 떨어지는 물의 양에 따라 속도가 결정되므로 제분을 위한 적절한 속도를 얻기 위해서는 물레방아의 중심축과 연결된 기어들(gears)을 적절히 바꿔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물레방아 시스템에서 구동을 위한 에너지는 떨어지는 물의 양이며, 제어를 위한 신호는 물의 양을 가늠해 적절히 기어를 바꿔주는 사람의 노동이라 할 수 있다.
전기는 에너지이자 신호로 동시 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의 투입은 곧 에너지의 투입이자 신호의 투입이라 할 수 있다. 최근 100년 사이 전기가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근본적인 에너지원(energy source)이자 ICT 기술의 신호원(signal source)으로 사용된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ScienceON Chatbot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2012.7.1 시행)
에 의해 추후 공개로 전환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과제관리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비공개 보고서를 공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 비공개 처리된 보고서의
열람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보고서 상세정보
차세대 Galileo 수신기를 위한 MBOC 신호 처리 기술
MBOC signal processing technique for the next generation Galileo receiver
과제명 | 차세대 Galileo 수신기를 위한 MBOC 신호 처리 기술 |
---|---|
주관연구기관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책임자 | 김선용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1-05 |
과제시작년도 | 2010 |
주관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
사업 관리 기관 | 한국연구재단 |
등록번호 | TRKO201200002196 |
과제고유번호 | 1345122329 |
DB 구축일자 | 2013-05-20 |
키워드 | 위성항법 시스템 (GNSS),Galileo 시스템,소프트웨어 기반 Galileo 수신기,BOC,MBOC 신호,신호 추적,GNSS 상호 간섭신호 제거,신호감쇠,실내측위기술,위치기반서비스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Galileo system,software-based GNSS receiver(SGR),BOC and MBOC signals,code tracking,GNSS interference cancellation,pathloss,indoor positioning,location-based service (LBS) |
연구과제
타임라인
▼
연구과제 성과물(0)
참여연구원의 다른 문헌(0)
연구의목적 및 내용-
이진천이반송파 변조된 신호와 복합이진천이반송파 변조된 신호는 미국의 GPSⅢ, 유럽의 Galileo 시스템, 중국의 COMPASS PhaseⅢ에 사용되는 차세대 GNSS 신호이며, 본연구팀은 BOC와 MBO.
연구의목적 및 내용-
이진천이반송파 변조된 신호와 복합이진천이반송파 변조된 신호는 미국의 GPSⅢ, 유럽의 Galileo 시스템, 중국의 COMPASS PhaseⅢ에 사용되는 차세대 GNSS 신호이며, 본연구팀은 BOC와 MBOC 이진 신호의 유형 변조된 신호에 적합한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소프트웨어 기반 차세대 GNSS 수신기를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가. 차세대 GNSS의 MBOC 신호특성 연구
- BOC 변조된 신호와 MBOC 변조된 신호의 상관함수는 BPSK 변조된 상관함수에 비해 첨예한 주첨두 특성을 가져 정확한 동기 추정이 가능하며, BPSK 변조된 신호의 주주파수 대역과 겹치지 않도록 설계되어 기존의 GPS 신호 등에 의한 왜곡이 적음
- 2011년 2월 현재, GPS L1/L2, M 코드와 Galileo E1-A, E6, E5 코드, 그리고 COMPASS B1-A, B2, B3 코드는 BOC 변조방식을 채택하였고, GPS L1C 코드와 Galileo E1-B/C 코드, 그리고 COMPASS B1-C 코드는 MBOC 변조방식을 채택하였음
나. BOC와 MBOC 변조된 신호에 적합한 신호처리 알고리즘 연구
- 정확한 신호추적과 정밀한 의사거리 추정을 위해 MBOC 변조된 확산신호 상관함수의 이른영역을 이용하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SGR 단위 블록으로 설계하고 성능을 평가하였음
-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GNSS의 자기/상호 신호간섭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제거 또는 완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측위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이를 SGR 단위 블록으로 설계하였음
다. LBS를 위한 실내측위기술 연구
- 현재 실내측위기술은 LBS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진 신호의 유형 적외선, 초음파, WLAN,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함
- 본 연구팀은 음향신호를 이용한 실내측위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실내환경에서 음향신호의 경로감쇠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새로운 실내측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음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일본의 QZSS, 중국의 Beidou, 인도의 IRNSS와 같은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지역위성항법 시스템 개발과 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음
- 차세대 GNSS 신호를 이용한 LBS 소형 기기의 핵심기술을 선점하여 추후 LBS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음
Abstract
▼
Purpose& contents:
The signal processing schemes for binary offset carrier (BOC) and multiplexed BOC(MBOC) signals have been pr.
Purpose& contents:
The signal processing schemes for binary offset carrier (BOC) and multiplexed BOC(MBOC) signals have been proposed and designed a software defin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receiver. The BOC and MBOC signals will be used for the next generation GNSSes as follows: GPSIII in U.S., Galileo system in E.U., and COMPASS PhaseIII in China.
Result:
A. Study on the BOC and MBOC signals
- The signals are able to be tracked with the accurately code phase due to the narrow main peaks of their auto-correlation functions, and less distort the signal which has been being used in the same band because their power spectral densities are lower than the used signal at center 이진 신호의 유형 frequency and are shifted to the band edge.
- At the time of this writing, the modulation type of GPS L1 and L2 M codes, Galileo E1-A, E6, and E5 codes, and COMPASS B1-A, B2, and B3 codes has been designed BOC signal, and the one of GPS L1C, 이진 신호의 유형 Galileo E1-B/C, and COMPASS B1-C codes has been done MBOC signal.
B. Propose the signal processing schemes for BOC and MBOC signals
- Advanced region schemes have been proposed to accurately track the code phase of the signals. The precise estimation for the pseudorange has been available through the modified discriminator of the delay lock loop. The software defined GNSS receiver (SGR) with the proposed schemes has been designed. It is able to evaluate the proposed schemes in the implementation-view.
- The property of the auto-/cross-interference (AI/CI) effects has been investigated when receiving the several GNSSes signals, and the AI/CI cancellation and mitigation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Also, the system block for SGR has been designed.
C. Consider of the indoor positioning for location based service (LBS)
- At the time of this writing, indoor positioning technique is going into spotlight as the core technology for LBS. To design the indoor positioning scheme, visible ray, infrared ray, ultrasonic sound signals, preamble signal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coustic signal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indoor positioning signal. Among these, the acoustic signals have been concentrated. Novel indoor positioning algorithms using acoustic signal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pagation model and several experiments in general and anechoic rooms.
Expected Contribution:
- If the government of Korea would try to design the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RNSS) as the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QZSS) in Japan, the Beidou in China, and Indian RNSS (IRNSS) in India,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applied to develop the Korean RNSS.
-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LBS handheld device design based on the current and next generation GNSSes. It is able to assist to spread the LBS market.
At the time of this writing, the market of LBS will be grown 14.5 billion U.S. dollars in 2014 estimated by association of British insurers (ABI) research.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