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KBS 뉴스

'와타나베 부인' 신드롬(증후군)을 꿈꾸는 개인 투자자들의 FX(외환) 마진거래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위탁증거금 상향 조정 등으로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FX마진거래 거래량은 8월 32만4천691계약에서 위탁증거금이 1계약당 2천달러 이상에서 5천달러 이상으로 상향 조정된 9월에는 18만6천806억원으로 42.5%(13만7천885계약)나 급감했다.
또 유지증거금이 1계약당 1천달러 이상에서 3천달러 이상으로 상향 조정된 10월에도 FX마진거래 거래량은 17만6천283계약으로 전달보다 5.6%(1만523계약) 줄었다.
FX마진거래는 5월 36만5천438계약에서 6월 38만9천406계약, 7월 40만3천652계약으로 증가세를 보이다 개인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금융 당국의 위탁증거금 상향 등 관리감독 강화방침 발표(7월 중순)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거래대금도 8월 538억8천만달러, 6월 564억6천400만달러, 7월 582억5천500만달러 등으로 상승하다 8월 471억2천500만달러, 9월 271억4천100만달러, 10월 256억9천800만달러 등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특히 9월에는 전달보다 거래대금이 42.4%(199억8천400만달러) 급감했다.
FX마진거래는 일정액의 증거금을 국내 선물회사나 중개업체에 예치해 두고 달러나 유로화 등 특정 해외 통화 간의 환율 변동을 예측해 해당 통화를 사고파는 외환 선물거래의 일종이다. 국내 선물사들은 대체로 해외 선물사(FMD)와 계약을 맺고 중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개인들은 HTS(홈트레이딩시스템)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투자자들의 FX마진거래 손실 규모는 2007년 118억원에서 지난해 489억원으로 급증했으며, 올해 들어서도 5월 말 기준 449억원을 기록하며 작년 손실 수준에 육박했다.
이에 따라 금융투자협회는 금융 당국의 관리감독 강화 방침에 따른 후속 조치로 9월1일 '금융투자회사의 영업 및 업무에 관한 규정'을 통해 FX마진거래의 위탁증거금률과 유지증거금률을 상향 조정했다.
FX마진거래에서 개인투자자 비중은 90% 이상으로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와타나베 부인'은 제로금리 상태인 일본을 벗어나 해외로 투자 기회를 찾아나선 일본 주부들을 일컫는 단어로, 이들이 즐겨 사용했던 투자방식이 바로 FX마진거래다.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요즘 주식상황을 보면 그야말로 오르락내리락 알수가 없습니다 . 원유값도 계속 하락하고 세계경제도 침체일로를 겪고있습니다 . 이럴때가 오히려 투자에는 기회가 될수도 있습니다 . 하지만 기회는 누구에게나 찾아오지 않고 찾아오더라도 이용을 할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수 있어야 합니다 . 오늘은 주식거래중에 FX 마진거래에 대하여 소개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 요즘 꽤나 이슈이더라고요 . 키움증권 정보위주로 소개를 하였습니다 .

▶FX마진거래?

FX 마진거래란 외국통화의 매수 혹은 매도를 통해 차익을 실현하는 거래 형태를 말합니다 . 전세계 통화의 환율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는데 , 이러한 변화를 이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FX 마진거래의 핵심입니다 . FX 마진거래의 기본 성격은 이종 통화 간 현물환 거래이지만 , 현물환보다는 계약 단위가 작고 증거금율도 낮으며 , 현물이 오고 가지 않는 차액결제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FX 마진거래의 최대 장점은 양방향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어 매수 또는 매도 포지션 진입이 모두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환율 변동에 따른 차익 외에도 , 통화 간 금리차로 인해 발생하는 “Swap Point” 에 따른 차익 , 적은 자금으로도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큰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규모의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 등이 FX 마진거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달러 / 엔 (USD/JPY) 을 예로 들자면 , 달러 당 환율이 100 엔일 경우 1 달러를 100 엔과 교환할 수 있습니다 . 환율이 달러 당 120 엔으로 상승하면 ( 엔화 약세 ), 보유하고 있는 1 달러를 120 엔과 교환함으로써 20 엔의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이를 환차익이라고 부릅니다 .

환율시장의 변동은 달러를 엔으로 교환하고자 하는 사람과 , 엔을 달러로 교환하고자 하는 사람 간의 균형 ( 수요와 공급 ) 에 의해 결정되므로 , 인기가 높은 통화의 환율은 오르고 , 반대로 인기가 낮은 통화의 환율은 내려갑니다 .

2. 시장 현황 및 규모

외환시장은 본래 국제적으로 은행 간 거래가 주를 이루는 제한된 시장이었으나 , 지금은 각국의 중앙은행 , 상업 및 투자은행 , 헤지펀드 , 일반기업 , 개인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가하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는 2005 년 선물거래법 시행령 개정을 기하여 개인투자자들에게도 FX 시장 참여를 허용하였으며 , 통신사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온라인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개인투자자들은 HTS (Home Trading System) 을 통해 24 시간 동안 거래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외환시장은 전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금융시장입니다 . 하루 평균거래량은 무려 3.2 조 달러에 육박하며 , 이는 전세계 증권시장의 일일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평균거래량의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10 배 이상 , NYSE ( 뉴욕증권거래소 ) 의 일일 평균거래량의 35 배 이상 , 남녀노소 막론 전세계 인구가 하루 평균 $500 가까이 거래하는 규모입니다 . 동 규모 중 현물환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1/3 수준입니다 .

FX 시장에서의 주요 시장으로는 런던 , 미국 , 도쿄가 있으며 , 이 중 미국과 영국이 전체 거래량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 미국과 영국 시장이 겹치는 오후 10 시부터 익일 오전 2 시 ( 한국시간 기준 ) 까지 거래가 가장 활발합니다 . 특히 , 미국 달러의 경우 전체 외환거래의 80% 이상에 관여하고 있으며 , 이는 일 2.7 조 달러에 상당하는 규모입니다 .

FX 마진거래에서 개인 투자자가 국내 증권사 또는 선물사 (Introducing Broker) 를 통해 주문을 넣으면 , 해당 주문은 해외파생상품시장회원 (FDM: Forex Dealer Member) 을 통해 은행으로 넘어가게 되고 , 은행은 국제은행 간 시장 (Interbank Market) 에서 타 은행과 주문을 거래합니다 . 즉 , FX 마진거래의 거래 참여자는 개인 투자자 , IB (Introducing Broker), FDM (Forex Dealer Member), 은행 (Interbank) 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

키움증권에서는 아래와 같이 거래 가능한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 추후 거래대상 종목은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습니다 .

FX 마진거래와 , 통화선물 , 선도환의 주요 상품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

▶FX마진거래 특징과 장점

FX 마진거래의 거래시간은 한국시간 기준으로 월요일 오전 7 시 (Summer Time 적용 시 오전 6 시 ) 부터 시작하여 24 시간 동안 열립니다 . 뉴질랜드와 호주 , 일본 등 아시아 시장에서 시작하여 중동 , 유럽을 경유 , 마지막으로 미국에서 거래됩니다 .

2. 실시간 환율 거래

24 시간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환율을 보면서 본인이 원하는 타이밍에 주문을 낼 수가 있으며 , 표시되는 실시간 호가를 클릭만 함으로써 발주할 수 있는 신속한 거래가 가능합니다 .

주식이나 부동산의 경우 가격 상승 시에만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는 데 반해 , FX 마진거래는 가격 하락 시에도 수익 실현이 가능한 양방향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4. 저렴한 거래비용, 높은 레버리지

FX 마진거래의 “Margin” 은 증거금을 , “FX” 는 Foreign Exchange ( 외환 ) 를 뜻하며 , 결국 FX 마진거래란 증거금을 담보로 통화를 거래하는 “ 외화증거금거래 ” 를 말합니다 . 제한된 자금 ( 개시증거금 ) 만으로 거래가 가능하므로 , 기존의 주식 , 채권 , 파생상품에 비해 레버리지가 매우 높습니다 .

주의레버리지의 배수가 크면 클수록 담보로 잡히는 증거금의 금액은 작아지므로 거래할 수 있는 계약 금액은 커집니다 . 높은 레버리지를 사용함으로써 큰 금액을 거래할 수 있으며 , 이에 따라 수익의 규모도 레버리지의 배수에 비례하여 커집니다 . 반면 , 그만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도 커지기 때문에 레버리지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많은 주의가 요구됩니다 .

FX 마진거래의 일 거래규모는 약 3,000 조원 수준으로 풍부한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 국제은행과 기업 , 개인이 함께 참여하는 거대한 시장입니다 .

▶FX마진거래 거래방법

키움증권의 일일 FX 마진거래 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외환시장이 열리지 않는 주말 ( 土 06:30 ~ 月 07: 25) 에는 FX 마진거래를 하실 수 없습니다 .( 섬머타임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적용 시에는 土 05:30 ~ 月 06:25)
  • 시스템 점검시간인 오전 07:00~07:25( 섬머타임 적용시에는 오전 06:00~06:25 분 ) 동안에는 FX 마진거래가 불가하며 , 반대매매주문도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 또한 동 시간 동안에는 은행연계이체 , 계좌대체 , 환전이 불가합니다 .

  • 주문 유효기간이 " 당일 " 인 경우 , 주문이 당일에만 유효합니다 . 즉 , 당일 장마감시까지 체결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됩니다 .

GTC(Good Till Canceled)

  • 주문 유효기간이 "GTC" 인 경우 , 주문이 체결될 때까지 계속 유효합니다 . 즉 , 당일 장마감시까지 체결되지 않은 주문은 , 다음 장 시작 시 자동 재주문 됩니다 . ( 지정가 또는 역지정가 주문인 경우에만 GTC 주문이 가능합니다 . 시장가와 지정시장가는 당일 주문입니다 .)

주문 후에는 유효기간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 변경을 원할 시에는 취소 후 재주문하셔야 합니다 .

스프레드 (Spread)

FX 마진거래에서는 매수 및 매도 호가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를 스프레드 (Spread) 라고 합니다 . 투자자는 Ask 가격에 매수하고 Bid 가격에 매도하게 됩니다 . 유로 , 달러 , 엔과 같은 주요 통화의 스프레드는 2~5 pips 수준이며 , 거래 빈도가 낮은 통화의 스프레드는 10 pips 가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

Rollover 이자 (Swap Point)

FX 마진거래에서는 투자자가 보유 포지션을 당일 내에 청산하지 않고 익일로 Rollover 시키는 방식으로 거래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이 때 , 통화 간 이자율 차이에 따른 Rollover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를 “Swap Point” 라고 합니다 .( ※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Rollover 이자 ” 참조 ) 만약 보유 포지션에 대한 이자 지급 또는 수취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유 포지션을 장 마감 이전에 청산해야 합니다 . 외환시장의 결제는 T+2 일 기준이므로 , 월 / 화 / 목 / 금요일 Rollover 에 대해서는 1 일분의 이자가 , 수요일에 대해서는 3 일분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 참고로 , 각국 휴일로 인해 4 일 이상의 이자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거래 수수료 (Brokerage Fee)

FX 마진거래 중개회사에서 부과하는 수수료를 말합니다 .

FX 마진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거래단위당 계약금액의 10% 수준에 해당하는 위탁증거금 (USD 10,000) 을 예치하여야 하며 , 보유 포지션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예탁자산평가금액이 최소한 위탁증거금의 50% 수준인 유지증거금 (USD 5,000) 이상 되어야 합니다 .

7. 마진콜 및 강제청산

FX 마진거래 시장은 시시각각 변하며 24 시간 운영되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하지만 투자자가 직접 24 시간동안 시장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대응을 할 수는 없으므로 , 키움증권에서는 이러한 시장 리스크에 대비하여 일정범위 이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 마진콜 (Margin Call) 통보 ” 와 “ 강제청산 (Loss Cut)”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

마진콜이란 불리해진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하여 추가 증거금 납부를 요구하는 것으로 , 예탁자산평가금액이 특정 수준을 하회할 경우 ( 포지션증거금의 70%) HTS 의 popup 또는 SMS( 신청자에 한함 ) 를 통해 고객님께 즉시 통보해 드립니다 . 마진콜이 통보되면 해당 포지션에 대해 강제청산이 임박하였음을 의미하므로 , 통보를 받은 후 가급적 빠른 시간내에 증거금을 추가로 입금하거나 해당 포지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청산할 것을 권장합니다 .

또한 마진콜 통보 이후 가격변동 등으로 인하여 예탁자산평가금액이 위탁증거금의 50%( 즉 , 유지증거금 ) 에 미달될 경우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모든 포지션을 강제청산하여 손실의 범위를 한정짓게 됩니다 .

국내주식거래와 달리 가격제한폭의 개념이 없는 FX 마진거래 시장이 급변할 경우 위와 같은 마진콜 및 강제청산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위탁증거금 뿐만 아니라 예탁자산 전체가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며 , 심지어는 원금 초과 손실분에 대한 추가 지급을 요구당할 수도 있으므로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8. Rollover 이자 (Swap Point)

“Swap Point” 란 , 금리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통화를 매매함으로써 발생하는 “ 금리차 조정분 ” 을 말합니다 . 예를 들어 금리가 낮은 통화를 매도하고 이보다 금리가 높은 통화를 매수했을 경우 , 금리의 차액분을 수취하게 됩니다 .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통화를 보유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대 통화와의 금리차만큼의 금액을 매일 수취하게 되는 것입니다 .

이와는 반대로 , 금리가 높은 통화를 매도하고 이보다 금리가 낮은 통화를 매수했을 경우에는 금리차를 지급하게 되어 손실이 발생합니다 .

FX 마진거래의 손익계산은 선물거래와 동일하지만 산출되는 손익은 통화쌍의 오른쪽 통화인 표시통화 ( 상대통화 ) 가 기준이 됩니다 . 따라서 미국식 호가방식이 아닌 거래통화의 경우에는 손익을 미국 달러로 환산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

미국식 호가방식 (EUR/USD, GBP/USD, AUD/USD, NZD/USD 등 )

  • 미국 달러로 표시한 외국 통화 한 단위의 가격을 나타내는 방식으로서 매도가격에서 매수가격을 뺀 가격에 거래단위 ($100,000) 를 곱하여 산출합니다 .
  • 손익 = ( 매도가격 - 매수가격 ) x $100,000
  • 예를 들어 , 고객 A 가 EUR/USD 를 1.2872/1.2875 에 매수하고 1.2911/1.2914 에 매도하였을 경우 , 고객 A 는 1.2875 에 매수하여 1.2911 에 매도한 것으로서 ,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
  • 고객 A 의 손익 = (1.2911 - 1.2875) x $100,000 = $360

유럽식 호가방식 (USD/JPY, USD/CHF, USD/CAD 등 )

  • 외국 통화로 표시한 미국 달러 한 단위의 가격을 나타내는 방식으로서 매도가격에서 매수가격을 뺀 가격에 $100,000 을 곱하고 청산할 당시의 매도가격과 매수가격의 중간값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
  • 손익 = [( 매도가격 - 매수가격 ) x $100,000] / (Closing Mid Rate)
  • 예를 들어 , 고객 A 가 USD/JPY 를 99.00/99.03 에 매수하고 , 99.41/99.44 에 매도하였을 경우 , 고객 A 는 99.03 에 매수하여 99.41 에 매도한 것으로서 , 손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 고객 A 의 손익 = (99.41 - 99.03) x $100,000 / 99.42 = $382.22

교차통화의 양쪽 통화가 미국식인 경우 (AUD/NZD, EUR/AUD, EUR/GBP, GBP/AUD, EUR/NZD 등 )

  • 교차통화의 양쪽 통화가 미국식인 경우 청산할 당시의 우측통화 환율을 곱하여 산출합니다 .
  • 손익 = ( 매도가격 - 매수가격 ) x $100,000 x ( 교차통화의 우측통화 Closing Mid Rate)
  • 예를 들어 , 고객 A 가 EUR/GBP 을 0.8124/29 에 매수하고 , 0.8170/75 에 매도하였고 , 청산할 당시 우측통화 GBP/USD 의 환율이 1.5850/60 이었을 경우 고객 A 의 손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 고객 A 의 손익 = (0.8170 - 0.8129) x $100,000 x 1.5855 ( 우측 통화 중간환율 ) = $650.06

교차통화의 한쪽 또는 양쪽 통화가 유럽식인 경우 (EUR/JPY, GBP/JPY, CAD/JPY, CHF/JPY, EUR/CHF, GBP/CHF 등 )

Daum 블로그

(단위: 백만계약, %)
구분 ‘11 ‘12 ‘13 ‘14 ‘15 ‘16 ‘17 ‘18.1Q
해외(A) 3.8 4.8 9.3 13.3 21.5 24.3 26.4 9.4
국내(B) 2,505.00 1,047.20 504.3 437.6 507.9 417.3 600.4 181.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7
비중(A/B) 0.2 0.5 1.8 3 4.2 5.8 4.4 5.2
□ (개인투자자 수) ’18.1분기 국내 투자자의 해외 장내파생상품거래 투자자수는 43,612명이며, 이중 대부분(93.6%)이 개인투자자임

◦ 거래규모 증가와 함께 개인투자자 수도 증가하여 1인당 거래금액은 소폭 감소*

* 1인당 거래금액(천달러) : 35,766(’11년) → 51,724(’13년) → 43,872(’15년) → 38,778(’17년)

개인투자자 해외 장내파생상품 거래규모

(단위: 천명, 조달러, 천달러)
구분 ’11 ’12 ’13 ’14 ’15 ‘16 ‘17 ‘18.1Q
투자자수 13.3 15.8 19.5 26.1 33.8 40.2 46 40.8
거래대금 0.5 0.5 1 1.2 1.5 1.6 1.8 0.7
1인당 거래대금 35,766 30,931 51,724 46,895 43,872 38,572 38,778 18,157

□ (지속적인 개인투자자 손실) 개인투자자는 시장상황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투자손실을 시현

◦ 매년 손실계좌수가 이익계좌수보다 최소 2배 이상

개인투자자 해외 장내파생상품 거래손익 현황

(단위: 백만달러, 계좌수)
구분 ‘11 ‘12 ‘13 ‘14 ‘15 ‘16 ‘17 ‘18.1Q
거래 손익 △72 △20 △67 △108 △112 △120 △74 △87
계좌 이익(A) 973 1,434 2,063 3,210 4,360 5,376 6,214 4,522
손실(B) 3,009 3,325 5,311 9,116 12,871 14,494 15,677 9,396
소계 3,982 4,759 7,374 12,326 17,231 19,870 21,891 13,918
B/A 3.1 2.3 2.6 2.8 3 2.7 2.5 2.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1

□ (중개기관) ’18년말 기준 장내 파생상품 중개가능 증권사·선물사는 50개사이나, 국내 투자자에게 해외 장내파생상품을 중개하는 국내 증권사·선물사는 14개사*

* KB증권, 교보, 대신, 미래대우, 신금투, 유안타, 이베스트, 키움, 하나금투, 한투, NH선물, 삼성선물, 유진선물, 하이투자선물(증권사 10개사, 선물사 4개사)

◦ 국내 증권사·선물사와 해외 장내파생상품 중개계약을 체결한 FCM은 34개사이며, 이중 6개사*가 65.0%를 중개(’18.3월말 기준)

* 맥쿼리(호), ADM(미), MOC(영), RJO(미), 소시에떼 제너럴(프), 도이치은행(독)
2 FX마진 투자현황

◇ FX마진 시장 건전화조치*(’11.12월) 이후 국내 투자자의 FX마진 거래규모 및 1인당 거래금액은 지속적으로 감소

* 개시 증거금율 인상 5%→10%, ② 유지 증거금율 상향 3%→5%, ③ 위험고지 강화 등

◦ 개인투자자는 해외 장내파생상품과 마찬가지로 투자손실 지속

□ (거래규모) ’05년 FX마진 허용 이후 급성장하였으나, 투기성 완화를 위한 증거금율 인상 등으로 거래규모 감소*

* 거래대금(억달러) : 765(’05년) → 5,067(’09년) → 6,654(’11년) → 1,097(’16년) → 723(’17년)

◦ FX마진 투자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거래규모 감소 추세에 따라 1인당 거래금액은 지속적으로 감소*

* 1인당 거래금액(천달러) : 737(’16.1Q) → 548(’17.1Q) → 268(’18.1Q)

기간별 FX마진 거래규모
(단위: 천명, 억달러,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천달러)
구 분 ’16 ’17 ’18
1Q 2Q 3Q 4Q 1Q 2Q 3Q 4Q 1Q
투자자수 25.4 29.8 32.5 36.7 40.8 43.8 49.3 58.1 70.9
거래대금 187.4 328.9 313.1 267.9 223.2 147.8 160.9 190.7 190.3
1인당 거래대금 737 1,103 963 730 548 337 326 328 268

□ (개인투자자 거래손익) 개인투자자의 경우 투자손실*을 지속

* 거래손익(백만달러) : △41(’16년) → △17(’17년) → △22(’18.1Q)

◦ 손실을 시현한 계좌수가 이익계좌수보다 많은 편

* 손실 계좌수 : 623(’16.1Q) → 572(’17.1Q) → 755(’18.1Q),

이익 계좌수 대비 손실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계좌수(배) : 2.1(’16.1Q) → 1.1(’17.1Q) → 2.0(’18.1Q)

□ (중개기관) ’18년말 기준 FX마진을 중개하는 국내 증권사·선물사는 7개사*

* KB증권, 신한금투, 키움, 하나금투, 한국투자, 삼성선물, 하이투자선물
◦ 국내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증권사·선물사와 FX마진 중개계약을 체결한 FDM은 4개사*

* GAIN(미), MP(Money Partners, 일), Oanda(미), SBI(일)
3 투자자보호 방안 및 유의사항 안내

◇ 개인투자자가 해외시장의 구조 및 특성, 투자위험 등을 숙지할 수 있도록 사전교육 등을 통해 투자자보호를 강화

□ 국내 중개사는 개인투자자가 해외 장내파생상품 거래시에도 국내시장 수준의 사전교육 등을 이수*하도록 안내

* 현행 규정상 국내 중개사는 해외 장내파생상품 중개시 국내 파생상품 중개시와 동일하게 파생상품교육과정 등을 운영

◦ 개인투자자의 투자손실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투자자 수 및 거래규모가 증가하고 있어 거래 이전에 상품관련 이해나 거래위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

※ 국내 중개사는 개인투자자에게 투자위험 및 거래의 특성과 주요내용을 충분히 설명(설명의무)하고, 투자자의 투자목적·재산상황, 투자경험 등의 정보를 파악(적합성·적정성 원칙)하는 등 투자자보호를 위한 주요 의무사항을 준수하여야 함

개인투자자의 파생상품 신규거래시 교육제도

※ 개인투자자의 국내 장내파생상품 신규거래시 단계적 파생상품 교육을 의무화

(1단계) 의무교육(20시간) 및 모의거래(50시간)에 참여한 경우 선물·옵션매수 가능

(2단계) 계좌 개설일로부터 1년 이상 경과하고 1단계 거래경험, 의무교육(10시간) 이수 후 모든 선물·옵션거래 가능

◇ 해외 장내파생상품(FX마진 포함) 거래시 인가를 받은 국내 투자중개업자(증권사·선물사)를 통해 거래해야 하며,

◦ 유사·무인가 중개업자를 통해 거래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
□ (무인가 중개업자) 선물계좌 대여업자, 미니선물업자 등 불법업자는 금융회사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며 정식 업체인 것처럼 가장

◦ 선물계좌를 대여하고 불법 중개(선물계좌 대여업자)를 하면서 소액 증거금에 따른 높은 레버리지, 일정금액 환급 등으로 유인하거나,

◦ 불법업자를 거래상대방으로 도박성의 거래를 체결(미니선물업자)하는 등의 행위는 무인가 영업행위임

금융회사와 유사한 명칭(XX에셋)을 사용하면서 뉴스 제공, ‘안전업체’ 등의 문구를 사용하여 정식 중개기관인 것처럼 가장
‘컨설팅 전문회사’, ‘원스톱 솔루션’, ‘연구개발팀’ 등 전문용어를 앞세워 파생상품 관련 전문성을 다수의 중개사로부터 인정받은 정식 중개기관인 것처럼 가장

⇨ 금융회사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는 업체로부터 투자 권유를 받은 경우 제도권 금융회사인지 꼭 확인한 후 거래

※ 금융감독원 홈페이지(fine.fss.or.kr) 우측 하단 금융회사 > 제도권금융회사 조회
참고 해외 장내파생상품 및 FX마진 거래구조

□ (해외 장내파생상품) 투자자는 해외거래소 회원인 해외 선물중개회사(FCM : Futures Commission Merchant)와 해외 장내파생상품 중개계약을 체결한 국내 중개사*를 통해서만 거래 가능

* 장내파생상품 투자중개업자인 증권사·선물사

◦ 투자자는 국내 중개사에 계좌를 개설하고, 증거금 납입 후 국내 중개사의 HTS 등으로 매매주문

◦ 해외 FCM은 국내 중개사로부터 주문을 전달받아 해외 거래소로 주문을 전달하고 주문체결통지, 증거금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

◦ 국내 중개사는 주문의 체결내역 통보, 일일 손익정산 등 해외 FCM과 매매내역을 정산

□ (FX마진) 투자자는 해외 외환중개업자(FDM : Forex Dealer Member)가 제시하는 해외 외환시장 호가를 국내 중개사*를 통해서만 거래 가능

'FX마진' 리베이트 공시 추진

금융당국이 FX마진거래(이종통화거래)에서 증권 · 선물사의 '리베이트'를 공시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외 파생거래인 FX마진거래가 투자자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다. 업계는 리베이트가 영업비밀에 속한다며 반대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감독원은 FX마진거래의 리베이트 공시 방안을 놓고 증권 · 선물사를 상대로 의견 수렴에 들어갔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FX마진 영업을 하는 회사들은 투자자들이 부담하는 거래비용 가운데 증권사 몫에 속하는 리베이트를 공개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리베이트를 적게 가져가는 회사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X마진거래는 세계 각국의 통화를 장외에서 거래해 환율 변동에 따른 차익을 추구한다. 적은 증거금으로 대량의 외환거래가 가능해 일본 '와타나베 부인'의 주무대로도 알려져 있다. 24시간 거래가 가능하고 '레버리지'(소액으로 큰 수익 추구) 효과가 높아 국내 개인투자자 사이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투기 목적의 개인 고객들이 장외시장에서 거래하다 보니 위험에 쉽게 노출된다는 지적이 많았다.

금융당국은 FX마진거래에 대한 투자자 보호가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업계는 반발하고 있다. A선물사의 FX마진영업부장은 "국내 FX마진 구조상 회사 원가를 다 밝히라는 얘기와 같다"고 주장했다. B증권사 관계자는 "영업 경쟁이 치열해져 고객들로부터 받는 수수료가 없어졌는데 리베이트까지 인하 경쟁이 붙으면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국내 선물 · 증권사는 외환 유출 규제 때문에 외환을 직접 거래하지 않고 투자자를 해외 선물중개업체(FCM)에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FCM은 자신들의 수입이자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거래비용인 스프레드(매수가격과 매도가격 간 차이) 가운데 일부를 증권 · 선물사들에 중개 대가(리베이트)로 지불한다. 리베이트가 줄어들면 투자자들의 거래비용도 낮아지는 구조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투자자 보호장치가 필요한 것은 맞지만 시장의 원가 구조를 해치지 않는 수준에서 해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외에서 두 나라의 통화를 사고팔면서 환율 변동에 따른 시세차익을 추구하는 거래.미국 달러,유로,엔,파운드화 등 8개 통화가 주거래 대상이다. 최대 20배까지 레버리지가 가능해 큰 수익 또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국내 5대 거래소, 8일부터 ETH·ERC계열 가상자산 입출금 일시 중단

5일 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 고팍스를 포함한 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5대 거래소들이 '이더리움 머지(Merge) 업그레이드'에 따라 오는 8일 00시부터 ETH 및 ERC계열 디지털 자산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조연우 블루밍비트 기자 [email protected]

5대 코인거래소, 이더리움 머지 공동 대응한다

국내 5대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로 구성된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닥사(DAXA)가 이더리움 업데이트인 '더 머지'에 공동 대응한다.5일 디센터에 따르면 DAXA는 이더리움 작업증명(PoW) 하드포크 지원과 관련해 대응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에어드롭, 상장 등 투자자에게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각 거래소는 DAXA에서 논의한 사안을 토대로 세부사항을 공지할 예정이다. 지난 6월 출범한 DAXA는 상장 및 상장 폐지 기준, 투자자에게 충분한 정보제공 등과 관련해 협력을 예고한 바 있다. 지난 달에는 학계, 연구계, 법조계 전문가 8명의 자문위원을 위촉했다.이더리움 머지는 합의 알고리즘이 기존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에서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로 변환되는 업그레이드다. 이더리움 커뮤니티에 따르면 머지는 오는 10일에서 20일 중으로 실행될 예정이다.하지만 최근 PoS 전환에 반대하는 세력이 머지에 대응해 하드포크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머지 업그레이드가 이뤄진 이더리움과 별개로 체인을 떼어내 PoW방식을 사용하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이어가겠다는 것이다.하드포크가 이뤄지면 기존 ETH 보유자는 에어드롭으로 하드포크 버전의 ETHW를 받게 된다. 1ETH를 보유하고 있다면 동일 수량의 1ETHW가 새로 주어진다. 이더리움 계열 ERC20 토큰 보유자도 마찬가지다. 대다수 알트코인이 ERC20 토큰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투자자 대부분이 에어드롭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업비트 관계자는 지난 2일 매체와 통화에서 "에어드롭은 정해지지 않았고, 상장 관련해서도 밝히기 어렵다"면서 "고객 자산에 손실이 가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빗썸 관계자는 같은 날 "이

비탈릭 부테린 "2040년 가상자산이 금 대체할 것"

이더리움(ETH)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2040년 가상자산(암호화폐)이 일부 틈새시장 공략에 성공한다면 안전자산인 금을 대체하고 금융 리눅스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4일(현지시간) 포브스에 따르면 부테린은 최근 경제 전문 작가인 노아 스미스와 인터뷰에서 "가상자산이 금융권의 리눅스로 자리매김한다면 앞으로 20년간 가상자산의 폭락은 잦아들 것"이라며 이같이 내다봤다.부테린은 이어 "중기적으로 가상자산은 안정될 것"이라며 "변동성을 보이더라도 금이나 주식 시장 정도에 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비트코인이 지난 10년 동안 반복적으로 겪었던 가격 폭락 현상을 지적하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기타 가상자산 등이 직면한 실존적 문제들이 점점 더 해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지영 블루밍비트 기자 [email protected]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