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2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KOASAS

Cited 0 time in Cited 0 time in

We propose a discrete and a continuous limit order book models in trading of financial assets, employing compound Poisson processes and Brownian motions with drift, and derive the distributions of future best buy and best sell prices based on the current limit order book state. To analyze short-term price movement, we compute distribution of hitting time of limit order volume processes. We suggest a 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method to compute an efficient price, which is an underlying (semi)martingale process of an market price process, under the limit order 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book models by computing the expectations of future mid price. We prove the martingale property of the efficient price under the 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bid-ask symmetry condition. Moreover, we check the efficiency of our models using the market data. Finally, we suggest continuous processes with a self-exciting feature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models including limit order books, and computed its limit properties.

Advisors Choe, Geon Horesearcher; 최건호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수리과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9 Identifier 325007 Language eng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수리과학과, 2019.2,[iv, 53 p. :]

Limit order book▼apoisson process▼aefficient price▼amartingale▼aself-exciting process; 지정가 주문▼a푸와송 과정▼a유효 가격▼a마틴게일▼a자기여기 과정

피델리티 STOP, LIMIT 브라켓

TOS 처럼 주문할적에 손절하는 STOP과 자동 수익 실현되는 LIMT을 동시에 거는 브라켓 기능이 피델리티에서는 못 찾겠습니다.

전 피델리티 불편해서 tos로 옯겼는데 .. 같이 옮기시죠 ㅎㅎ TD는 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두가지 렉을 따로따로 관리가 가능해서 편한것 같아요.

곧 TOS계좌 하나 열어야 겠네여^^

Fidelity도 Conditional Order라는게 있어요. 스톱과 리밋로더를 동시에 넣을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되는 건가요? 너무 감사드려요.

Z.png

티디랑 비슷하네요. 요즘 피델리티 쓰시는분들 많이 계시던데 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도움되겠네요

LowKey

안녕하세요 재즈님! 전 티디만 써서 잘 모르겠는데 방법이 있지 않을까요? 저희 회원방에 문의 드렸으니 조만간 답변 주실꺼에요.

신경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는게 없어서 눈팅만 하지만 회원방에서 많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여기 미옵사이트 어딘가에 링크 있어요.. 저도 정확히 어디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커뮤니티 홈-> 공지 사항-> 미국옵션 단체톡 코드-> 들어가시면 연결 링크 있어요.

자유게시판

피델리티 STOP, LIMIT 브라켓

TOS 처럼 주문할적에 손절하는 STOP과 자동 수익 실현되는 LIMT을 동시에 거는 브라켓 기능이 피델리티에서는 못 찾겠습니다.

전 피델리티 불편해서 tos로 옯겼는데 .. 같이 옮기시죠 ㅎㅎ TD는 두가지 렉을 따로따로 관리가 가능해서 편한것 같아요.

곧 TOS계좌 하나 열어야 겠네여^^

Fidelity도 Conditional Order라는게 있어요. 스톱과 리밋로더를 동시에 넣을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되는 건가요? 너무 감사드려요.

Z.png

티디랑 비슷하네요. 요즘 피델리티 쓰시는분들 많이 계시던데 도움되겠네요

LowKey

안녕하세요 재즈님! 전 티디만 써서 잘 모르겠는데 방법이 있지 않을까요? 저희 회원방에 문의 드렸으니 조만간 답변 주실꺼에요.

신경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는게 없어서 눈팅만 하지만 회원방에서 많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여기 미옵사이트 어딘가에 링크 있어요.. 저도 정확히 어디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커뮤니티 홈-> 공지 사항-> 미국옵션 단체톡 코드-> 들어가시면 연결 링크 있어요.

Mikook Option에서 제공하는 모든 컨텐츠는 정보교류와 교육의 목적만있으며 관련인이 개인적으로 과거에 보유했더나 현재 거래하고 있는 금융상품에 관한 내용일 수 있습니다. a) 절대로 특정 트레이딩 전략,b)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나 매도에 대한 권유, 유도, 추천 또는 보증으로 받아들이지 마십시오. 모든 최종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Mikook Opt ion 웹사이트는 Amazon Affiliate이며 만약 방문자가 아마존링크를 통해 구매를 할 경우 수익을 창출하게 됩니다.

8. 본격적으로 거래 시작하기

위의 스크린샷은 Gdax 거래소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거래소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를 수 있지만, 모두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2. 매수주문 리스트. 1과 2를 합쳐서 “주문 대장” 이라고 합니다.

4. 시간에 따른 가격 변화 그래프

넣을 수 있는 주문의 종류 알아보기

1. 시장가 구매/판매- 시장가 구매/판매란 주문 대장에 형성되어 있는 최저/최고 가격에 코인을 사고/파는 것을 말합니다. 시장가 구매/판매를 이용하면 코인 구매/판매가 즉시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부분의 거래소에서는 구매/판매 대장의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시장가 구매/판매에 대해 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추가적인 수수료를 부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Gdax와 달리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다른 거래소에서는 가격을 직접 입력해야합니다. 빗썸의 간편거래라는 기능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2. 지정가 구매/판매- 지정가 구매/판매란 주문대장에 원하는 가격과 수량에 대하 주문을 걸어 놓는 것을 말합니다. 수수료가 덜 들지만 원하는 가격에 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다른 사람이 코인을 매도/매수 하지 않으면 코인의 주문이 처리 되지 않을 위험이 있습니다. 위의 주문 대장에서, 매도 주문이 $46.84 에 끝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정가 판매를 하기 위해서 $46.84 또는 그이상, 지정가 구매를 하기 위해서는 $46.83 또는 그 이하의 가격을 기입하셔야 합니다. Gdax의 경우에 지정가 구매/판매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습니다만, 이는 거래소별로 다르니다.

3. 스탑 매수/매도 주문- 스탑 매수/매도 주문은 어떠한 조건을 설정하여 그 조건에 시장 가격이 다다르면 주문을 넣는 것을 말합니다. 빗썸의 예약거래와 비슷하다고 생각을 하시면 되는데, 상승장/하락장 이라는 생각은 드는데 확실하지 않을 때 이러한 스탑 매수/매도 주문을 이용하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하락장일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확실하지 않으면, 스탑 매도를 하면 됩니다. 만약 지정한 가격보다 시장 가격이 떨어지면 거래가 발동하게 되는 것이지만, 운좋게시장 가격이 떨어지지 않으면 여러분은 코인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이죠. 스탑주문을 걸어놓으면 예상치 못한 시장의 급격한 변화 (갑자기 하락장으로 전환 한다든가, 상승장으로 전환한다든가)에 대해 잘 대응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있는지 24시간 지켜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나요?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유용하게 쓰였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2가지 널리쓰이는 T.A 를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프를 읽어서 시장이 어떻게 변화할지 예상을 해보는 것이죠.

Limit 주문

CD는 Careful Discretion의 약자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신중히 분별해라, 판단해라"라는 뜻이겠죠. 개인적인 의심입니다만, "Discretion"이라는 단어를 "Discrete"라는 말로 생각한 것이 아닌가, 수학에서 "연속적, 이산적"이라고 할 때 continuous, discrete를 쓰고 있고, "이산 분포"의 대표적인 그림이 막대 그래프로 나오는 그림이라, "discrete - 분할"이라는 연상작용이 생긴 것이 아닌가, 그렇게 생각해봅니다. 제가 그랬거든요.

CD는 FIX 4.3 에서는 "Asia Pacific regional order handling" 항목으로 들어가 있고, 실제 아시아 이외 지역에선 사용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해외의 FIX 커뮤니티에서도 CD 주문을 어떻게 실행해야 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하는지는 잘 모르네요. 비슷한 항목을 찾아보면 "With Discretion" 이라고 있습니다. Limit 주문일 경우 주문 가격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미체결이 발생했을 경우 정정주문은 Limit 가격보다 약간 더 여유를 주는 방식인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주문지시가 "XYZ주식 매수 10,000주, Limit 500원, With Discretion 10원" 이렇게 날아온다면, 브로커는 limit 가격 500원에 맞춰서 주문을 내게 됩니다. (10,000주를 한번에 내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분할해서 냅니다) 이 때 미체결이 발생했을 경우 브로커는 (매수1호가+10원)의 가격으로 정정이 가능합니다.

어쨌든, 현재 국내에서 "CD주문"이라는 말은 "주문 수량을 uniform하게 분할하는 주문 전략"이라는 말과 같습니다. 저는 그냥 TWAP 전략의 국내버전을 CD주문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몇 년 전에 조사해본 바로는 국내 FIX 주문의 70% 이상이 CD주문이었습니다. 그만큼 많이 쓰는 CD주문. 품질은 어떨까요?

이런 CD주문이 실행된다면, 약 3분30초 간격으로 5000주/100회=50주 주문이 계속 나갑니다. 신규주문은 보통 현재가격, 정정주문은 상대호가 가격으로 실행하게 되니 호가 스프레드 정도의 거래비용이 발생합니다. 거래량이나 시장가격에 따라 주문수량을 변경시키지 않기 때문에 시장의 움직임에 (좋은말로) neutral 합니다. 실제 측정한 값은 아니지만, 대충 VWAP 대비 최소 30~40bp 정도의 거래비용이 STOP, LIMIT 브라켓 – Mikook Option 생겨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CD주문을 지시하는 고객(운용사) 역시 이런 품질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이 없어보입니다. 항상 "왜 9시에 50주가 안나갔는가? 왜 종료시간에 50주가 안나갔는가? 왜 3분30초 마다 50주가 안나갔는가?" 하는 것들만 확인하는 것 같더군요. 주문의 품질보다는 시스템이 현재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식입니다. 왜그럴까요?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