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술적 분석] 이동평균선 이해 및 전략적 응용방법
우연히 참여하게된 주식 토론방에 이동평균선 관련 강의가 있길래 가져와 봤습니다. 임의로 이동평균선 이해 및 전략적 응용방법이란 제목을 붙여 보았습니다.
이동평균선 이해
오늘의 강의는 기술적분석 강의로 가장 기초적인 이동평균선의 대한 강의로 시작하려고 합니다.
앞서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자신의 매매 법과 기준이 없이 접근하시는 방분들의 투자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드리고자 컨텐츠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한 명의 투자자로서, 이동평균선은 후행성 보조지표로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다만 모르고 매매를 하시는 것보다 조금이라도 알고 매매를 하시는 것은 다릅니다.
이동평균선이란 ?
이동평균선은 일시적으로 조작이 가능한 비정상적인 변동을 최대한 줄여 주가의 흐름을 좀 더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평균화한 선입니다.
예를 들면 5일간의 가격을 모두 더해서 5로 나눈 평균값을 매일 구합니다.그것을 선으로 연결하면 5일 이동평균선이 됩니다.마찬가지로 60일간의 가격을 모두 더해서 60으로 나눈 평균값을 매일 구해서 선으로 연결하면 60일 이동평균선이 됩니다.
이동평균선의 종류에는 기간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기추세 : 3일 , 5일(1주) , 10(2주)일 이동평균선
단중기추세: 20일(1개월)
중기추세 : 60일(3개월)
장기추세 : 120일(6개월) , 240일(1년) , 480일(2년) 등등..
이런 이평선이 많이 사용되는 이동평균선입니다.평균을 구할 때 계산방법에 따라 단순 / 지수 등의 이동평균선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이동평균선은 단순 이동평균선이고 그 다음 지수 이동평균선이 많이 사용됩니다.어떤 것이 절대적으로 좋다 나쁘다로 평가할 수 없습니다.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보자분들은 일단 단순 이동평균선을 사용하시면 됩니다.그것이 완전히 익숙해졌을 때 그 다음 필요하다면 지수 이동평균선을 공부하시면 됩니다.
이동 평균선의 기능에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고 있으면, 현재 주가의 방향이 상승이라는 의미입니다.반대로 이동평균선이 하락하고 있으면, 현재 주가의 방향이 하락이라는 의미입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고 있으면 현재 주가의 단기 방향이 상승이라는 의미입니다.지금부터 보여드리는 사진과 내용은 이해를 위해 20년도 차트로 설명드릴테니 양해바랍니다.
삼성SDI 사례
2월10일 매수신호를 드리며 추천한 삼성SDI 입니다. 빨간색 5일선이 계속 우상향하고 있습니다.단기 방향(추세)가 우상향이라는 거죠.
아래 주가차트 이동평균선 이미지의 동그라미 부분을 보시면 2월 4일 상승 후 2월 5일 음봉으로 하락했습니다.당일 주가등락만 본다면 주가의 방향이 상승인지 하락인지 헷갈릴 수도 있지만, 5 이평선은 명확하게 상승 방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것이 이평선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입니다.그후에 차트를 보더라도 추가상승까지 이어지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만약 중장기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고 있으면 현재 주가의 중장기 방향이 상승이라는 의미입니다.
삼성전자 사례
가장 많이들 소유하고 계시는 삼성전자의 차트입니다. 그런데 60일 이평선(녹색)선과 120일 이평선 (검정선)이동평균선 이 하락하고 있으니 중장기 방향(추세)는 하락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단기 이평선이 상승하고 있고 장기 이평선이 하락하고 있으면 주가의 방향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여기서 알아야 할 개념이 배열도 입니다.
이평선이 단기>중기>장기 순서이면 정배열, 이평선이 장기>중기>단기 순서이면 역배열 입니다.
삼성전자의 이평선을 보면 5일이평선(자주색)이 가장 위에 있고 그 다음 20일 이평선(노랑색) 그 다음 60일 이평선(녹색) 가장 아래에 120일 이평선(검정색)이 있습니다. 전형적인 정배열입니다. 상승후 조정시 매수 관점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대로 여기서 이평선을 보면 5일이평선(자주색)이 가장 아래에 있고 그 위에 이평선(노랑색) 그 위에 60일 이평선 (녹색) 가장 위에 120일 이평선 (검정색)이 있습니다 이는 역배열입니다.
이평선이 얽혀있는 구간은 정배열도 역배열도 아닙니다.추세가 상승도 하락도 아닌 혼조 구간이고 추세를 만들어가는 과정 중에 있는 겁니다.
이평선이 단기 > 중기 > 장기 순서인 정배열은 상승추세를 나타냅니다.반대로 장기> 중기> 단기 순서인 역배열은 하락추세를 보여줍니다.상승추세에서는 가격이 조정 받을때 지지 영역에서 분할 매수하고 하락추세에서는 가격이 반등시 저항영역에서 분할매도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주식투자로 수익내기 가장 좋은 구간은 횡보하다가 정배열을 만들기 시작하는 정배열 초기 구간입니다.
2019년 8월말 삼성전자 차트를 보시면 60일 이평선 (녹색)과 120일 이평선 (검정선) 그리고 단중기 이평선들이 꼬여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뒤에 2019년 9월 19일 주가가 상승하면서 5일 이평이 가장위에 있고 120 이평이 가장 아래에 있는 정배열이 시작됩니다. 정배열 초기구간이죠. 가장 쉽게 수익낼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습니다.
수렴 이후 정배열이 시작된다면 눌림시 매수관점으로 보시면 됩니다. 대부분 수익을 줍니다.
중대형 우량주가 이런 식으로 “수렴 이후 정배열 초기 흐름” 을 만들었다는 것은향후 실적 등 펜더멘털을 좋게본 외인 기관 메이저가 주식을 매집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이저가 매수를 진행함으로써 왔다갔다 하던 주가의 흐름이 정배열 초기흐름을 만든겁니다누군가가 강력한 매수를 진행했다는 신호이죠.중대형 우량주가 이런 식으로 “수렴 이후 정배열 초기 흐름”을 만든다면 강한 매수의 시그널입니다.
가격 조정이 어딘지 모르시겠다면 그것도 이평선이 알려줍니다
이평선의 기능 중에 지지저항이 있다고 했죠.
종목마다 다르지만 정배열 초기엔 보통 1차 10일선,2차 20일선 부근에서 지지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 그 부근이 매수 급소가 됩니다.
반면 역배열이 만들어지면 초보자들이 손실보기 쉽습니다.역배열 이후 반등시마다 저항에 이동평균선 부딪히는데 호재성 뉴스가 나오면서 개인들을 유혹합니다.
그런데 그런자리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공매도를 하면서 가격 하락을 이용해 수익을 챙깁니다.장기간 상승하고 역배열로 바뀌는 경우 또는 이동평균선 수렴이후 역배열이 시작되는 경우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반등을 이용하여 무조건 빠져나와야 합니다.대부분 더 싸게 살 기회를 줍니다.
아시아나항공 사례
2019년 4월 아시아나항공은 실적 부진, 코로나19 등의 이유로 급락이 나왔습니다.하지만 ,이평선을 분석하면 이런 급락을 피할 수 있습니다.중요한 내용이니 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코스피 지수는 2월말까지 20일선을 이탈하지 않았습니다.20일선을 깬 이후에도 60일선에서 반등하고 60일선이 우상향 중입니다.
그런데 아시아나항공은 4월 중순에 20일선과 60일선을 한방에 깨고 20일선과 60일선이 저항으로 바뀌었으며, 20일선 및 60일선이 우하향으로 바뀌었습니다.시장은 20일선 위에서 움직이는데 20일선을 깨고 그 아래에서 움직이는 종목, 시장은 60일 선을 지키고 60일 선이 살아있는데 60일 선이 죽은 종목..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시장과 반대로 움직이는 종목은 보이지 않는 세력이 진작에 팔고 나서 사지 않고,반등할 때 마다 공매도를 치고 있는 것입니다.
정보를 미리 알고 있거나 안 좋은 분위기를 감지한 것이죠.어떤 종목을 볼 때는 시장의 흐름 그리고 그 종목이 속한 섹터와 비교해서 분석하시기 바랍니다.0
그러면 난데없는 급락은 대부분 피할 수 있으며 좋은 자리에서 매수 할 수 있습니다.일주일의 마지막 방분들께 도움이 될만한 강의들 중 어떤 강의를 해드릴까 고민하다가 선택지를 여러분께 드렸고,결과치로 이동평균선의 기초를 다루어 보았습니다.
한 주 동안 모두 전쟁터같은 주식시장에서 버텨내시느라 고생 많으셨고,주말 간 연인 혹은 친구, 가족분들과 행복한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새롭게 뉴스레터를 시작 했습니다.
1️⃣ 주식 등 투자 정보 : 기업 분석, IB 투자의견 등 투자 관련 내용
. 테슬라 실적 및 IB들의의 테슬라 투자의견
2️⃣ 사례 및 트렌드 : 사례연구와 트렌드 관련 괜찮은 내용
. 유튜브와 경쟁대신 구독 전환한 비디오 플래폼 비메오 사례
이동평균선, 이평선이란? 알고나면 주가 흐름이 보인다.
이동평균선, 이평선을 봐야 주가 흐름이 보인다고 합니다. 주식차트를 보면 노랗고 빨갛고 파랗게 생긴 실처럼 엮여 있는 선들인데요. 주식하시는 분들은 이게 이동평균선이다. 이평선이다. 라고 부릅니다.
이동평균선의 의미와 이평선이 어떤 모습 일대 주식을 매매하고 주식을 매도해야 하는지 그리고 키움증원 영웅문s에서 이평선은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알아볼게요.
키움증권 영웅문s 이동평균선 설정 방법
키움증권 영웅문s 이동평균선 설정 방법 키움증권 영웅문s 어플로 주식차트를 이동평균선이라고 하는 이평선이 있습니다. 이평선 설정 방법이 쉬운데 처음 키움증권을 사용할 때는 어디서
주식용어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
삼성전자 차트를 보겠습니다. 그림에 표시된 선들이 이동평균선 또는 이평선이라고 불리는 이동평균선 선들입니다. 1번은 5일선, 2번은 20일선, 3번은 60일선, 4번은 120일선이라고 합니다.
5일선은 5일간의 종가를 합하여 5일로 나눈값입니다. 20일선은 20일간의 종가를 합하여 20일로 나눈 값이겠죠, 이동평균선 나머지 60일, 120일도 동일합니다. 그림에는 없지만 240일 선도 동일합니다.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동평균선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동평균선의 종류
- 5일선, 주가의 방향을 알려주는 방향선이라고도 불립니다. 기간이 짧은 만큼 움직임이 가장 빠릅니다.
우리가 이평선을 주목해서 봐야 하는 이유는 뭘까요? 이동평균선을 보면 주식은 매수해야 하는지 매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잡을 수 있습니다. 물론 차트가 정답은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기준이 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차트에 정답이 있으면 주식으로 부자 된 사람만 있어야겠죠.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게 주식 시장입니다. 이런 거 공부하지 않아도 누가 급등주를 매일 알려주면 좋을 텐데 말이죠. 하지만 주식시장에서는 기술적 분석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합니다.
물적분할, 인적분할 무엇을 위한 것인가?
물적분할, 인적분할 이야기로 시끄럽죠. LG화학이 배터리 사업을 분사한다는 얘기로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LG화학은 배터리 분야 점유율 세계 1위 기업으로 최근 전기차가 관련주의 관심으로 많
이동평균선의 방향의 의미
이동평균선 정배열
정배열, 5일선이 제일 위에 우치하고 20, 60, 이동평균선 120, 240 선 순서로 진행된다면 정배열이라고 합니다.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일 경우에는 투자자들 대부분이 수익을 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 역배열
역배열, 5일선이 제일 밑에 위치하고 20, 60, 120, 240선 순서로 높아진다면 역배열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투자자들 대부분이 손실을 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골든크로스
골드크로스, 5일선이 20일선이나 60일선을 상승 관통하면 골든크로스라고 합니다. 이제 하락을 멈추고 상승한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데드크로스
데드크로스, 5일선이 20일선, 60일선, 120일선을 이동평균선 뚫고 하락 관통하면 데드크로스라고 합니다. 상승추세가 꺾이고 주가 하락한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의 움직임에 따라 주가의 흐름을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알아보았는데요. 차트라는 것이 과거 데이터를 기준으로 표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움직임을 100%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통해서 앞으로의 움직임을 대략적으로 예측을 가능하다 정도로 받아들이면 되는데요. 이동평균 선중에서 20일선이 추세선으로 가장 중요합니다. 추세선의 움직임에 따라 어떻게 우리는 준비해야 할까요?
키움증권 영웅문 출금 방법(ft. 출금가능금액 확인 방법)
키움증권 영웅문 출금 방법(ft. 출금가능금액 확인 방법) 주식 투자 시 대부분의 분들이 증권사 어플을 활용하여합니다. 그중에서 키움증권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요. 오늘은 키움증권 영
이동평균선의 매수 & 매도 시점
이평선이 매수 시점
아래에서 설명항 공식은 정답은 아닙니다. 하지만 차트 분석도 주식 분석에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인 것은 틀림 없습니다. 그리고 투자 시점을 잡을 때는 많이 도움이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 주가와 20일선 골든크로스 후 20일선이 상향하면 상승한다.
- 20일선과 60일선이 골든크로스 되면서 상승세에 가속도가 붙는다.
- 20선 상향 초기 쌍바닥은 진바닥이다.
- 20일선이 상향하면서 1차 눌림목을 상승 돌파하면 3차까지 상승한다.
- 5분 차트에서 20일선이 상향하기 시작하면 2시간 이상 상승한다.
- 일간차트에서 20일선이 상향하기 시작하면 1개월 이상 상승한다.
- 주간차트에서 20일선이 상향하기 시작하면 6개월 이상 지속된다.
- 월간차트에서 20일선이 상향하기 시작하면 1년 이상 지속된다.
- 20일선이 상향하는 상승장에서는 매수 후 보유해라.
- 주가가 상향하는 20일선을 상승 돌파하면 매수해라.
- 20일선의 하향세가 완만해지면서 쌍바닥 출현 시 매수해라.
- 시초가에 주가가 20일선과 상승 이격을 확대하기 시작할 때 매수해라.
이동평균선의 하락과 매도 시점
- 주가와 20일선 데드크로스 후 20일선이 하향하면 하락한다.
- 20일선과 60일선이 데드크로스 되면 급락한다.
- 20일선 하향 시 쌍바닥은 가짜 바닥이다.
- 20일선 하향 시 1차 반등에서 하락하면 3차까지 하락한다.
- 5분 차트에서 20일선이 하향하기 시작하면 2시간 이상 하락한다.
- 일간 차트에서 20 일성이 하향하기 시작하면 1개월 이상 하락한다.
- 주간 차트에서 20일선이 하향하기 시작하면 6개월 이상 지속된다.
- 월간 차트에서 20선이 하향하기 시작하면 1년 이상 지속된다.
- 20일선이 하향하는 하락장에서는 단기 매매를 해라.
- 주가가 하향하는 20일선을 하락 돌파 시 매도해라.
- 20일선의 상승 고점에서 쌍봉 출현 시 매도해라.
- 시초가에 주가가 20일선과 하락 이격을 확대하기 시작할 때 매도해라.
키움증권 영웅문S 이평선 설정 방법
키움증권 영웅문s 이동평균선 설정 방법
키움증권 영웅문s 어플로 주식차트를 이동평균선이라고 하는 이평선이 있습니다. 이평선 설정 방법이 쉬운데 처음 키움증권을 사용할 이동평균선 때는 어디서 해야 하는지 찾을 수가 없었네요. 저처럼 키
마치며
이동평균선, 이평선의 의미와 움직이는 방향에 따른 매수, 매도 포인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식의 정답은 없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평선을 참고하는 데는 분명 이유가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동평균선의 매매기법이 어떨 때는 아주 잘 맞기 때문입니다.주가의 흐름을 잘 파악한다면 최소한 주식 투자하면서 깡통 차는 일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기본적 분석과 더불어 기술적 분석이 반듯이 선행돼야 합니다.
이 글도 추천 합니다.
주식분석을 위한 주식정보사이트 3곳 추천!
주식분석을 위한 주식정보사이트 3곳 추천! 주식분석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이미 주식 투자를 오랫동안 해오신 분들은 제각기 자기만의 방법으로 분석을 하고 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LG화학으로 배우는 주식 물적분할, 무엇을 위한 것인가?
LG화학으로 배우는 주식 물적분할, 무엇을 위한 것인가? LG화학이 배터리 사업을 분사한다는 얘기로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LG화학은 배터리 분야 점유율 세계 1위 기업으로 최근 전기차가 관련주
무료로 증권사 리포트 어디서 볼 수 있나요? 추천 7가지
주식투자를 시작했는데 아무것도 몰라 친구가 추천하는 주식에 투자합니다. 친구 따라 계좌는 박살 나죠. 안 되겠다 내가 공부를 해서 투자를 하자라고 마음먹습니다.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할
이동평균선
주식 관련 책을 보다 보면 이동평균선(이평선)이라는 단어들이 많이 등장한다.
막연히 며칠 기준으로 평균을 낸 기준 선이라고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가 생각이 들어
오늘은 이평선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평선이란?
이동평균선이란 주가를 분석하는 기술적 분석 지표 중 하나이다.
미국의 J.E. 그랜빌에 의해서 그랜빌의 법칙으로 정리되었는데, 과거의 일정 기간(n)의 주가의 평균치로 계산되어 기준선 이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n일 이동 평균선은 과거 n일 동안의 주식의 종가의 평균치를 매일 점으로 표시하고 이를 계속 이어서 선으로 만든 것이다.
이평선의 종류?
이평선은 기준일에 따라 주식의 추세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단기/중기/장기로 나눠서 볼 수 있다.
위 단기/중기/장기는 아래와 같이 기간으로 나눠서 대응된다.
주식 시장은 한주에 5일이 열린다. 한주의 추세를 볼 수 있는 이평선이 된다.
단기 추세를 가장 많이 반영하는 이평선으로 등락폭 (변동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선으로 단타를 할 때 많이 이용한다.
5일 이평선으로 캔들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보고 가격이 높은지 낮은지 판단할 수 있다.
한 달에 4주, 한주에 5일, 즉, 한 달의 주가 추세를 볼 수 있는 이평선이다.
20일 선도 단기 추세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이평선으로 심리선이라고도 한다.
20일선은 상승 추세일 때는 지지선이 될 수 있고 하락 추세면 저항선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달에 4주, 한주에 5일, 60일이면, 3개월간의 평균 매매 가격(1분기)으로 중기적 추세를 볼 수 있는 이평선이다.
수급선이라고 하며, 5, 20, 60일 선이 정배열 (순서대로) 상태일 때, 하락 조정 장에서 60일 선이 주요 지지선 역할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가가 60일선을 돌파했을 경우엔, 추세가 상승국면이라고 보는 경우도 많다.
6개월간의 추세, 즉 반년 동안의 추세로 기업의 반기 실적을 통한 추세와 경기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이평선이다.
120일선 돌파 또는 붕괴는 추세 전환에 대한 지표로 이동평균선 활용 가능하다. 또한 120일 선 위에 있는지 아래 있는지에 따라 업종의 매매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평선 활용 방법
5일 이평선 - 심리선 : 투자자들의 한주의 심리 상태 파악 가능
20일 이평선 - 단기적인 변동폭을 배제하고 추세 판단이 가능
60일 이평선 - 주가의 수급 현황을 파악 가능
120일 이평선 - 장기적인 주가 흐름 및 경기 흐름 파악 가능
매수에 대한 보조 지표로 활용할 땐,
(1) 가격 이동 평균선이 수렴(간격이 좁아질 때) 또는 (이동평균선 2) 단기/장기 이평선이 골든 크로스 일 때
매도에 대한 보조 지표로 활용할 때,
(1) 가격 이동 평균선이 벌어질 때 , 또는 (2) 단기/장기 이평선이 데드 크로스 일 때
삼성전자 차트
위 삼성전자 차트를 보면 20일 평균선(파랑)이 60일 이평선(노랑)을 데드 크로스 하는 시점에서 가격이 많이 빠지는 것을 볼 수 있다.
ScienceON Chatbot
A Stock Trading System based on Moving Average Patterns and Turning Point Matrix
본 논문에서는 주가의 단기적 변동을 반영하는 이동 평균선 패턴과 장기적인 주가 변동 과정을 표현하는 전환점 행렬을 사용하는 지능형 주식 거래 시스템을 제안한다. 골든 크로스를 포함하는 네 가지 패턴에 대하여 각기 독립적인 예측기를 구축한다. 또한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하여 장기간에 걸친 주가 변동 과정을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전환점 행렬을 정의하여 사용한다. 한국 거래소 시장의 데이터를 사용한 실험을 통해, 패턴별 다중 예측기의 학습과 전환점 행렬의 사용이 최종적인 거래 성능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인다.
Abstract
In this paper, an intelligent stock trading system utilizing moving average patterns which reflect short term price changes and turning point matrix which represents the long term history of stock price. Separated predictors are learned for the selected four patterns including the golden cross. In addition, the proposed system defines and utilizes turning point matrix which succinctly represents the long term history of stock price by Fibonacci numbers.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on KOSPI, 이동평균선 it is shown that the use of the pattern-based multiple predictors and turning point matrix can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the final trading performance.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