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 투자의 장단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5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미얀마 농업정책 : 생산증대를 통한 수출산업화

은행, 금융, 외환 관리

말레이시아의 금융 시스템은 국내 경제의 점점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여러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존 금융 시스템과 이슬람 금융 시스템으로 이원화되어 공존하며 동시에 운영되고 있습니다.

은행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상업 은행, 투자 은행, 이슬람 은행은 말레이시아 경제 활동을 지원하는 1차 자금 동원 수단이자 주요 자금 조달원입니다.

이슬람 금융 산업
말레이시아의 이슬람 금융은 포괄적인 규제, 법률, 샤리아 율법 체계, 다양한 업종의 기업, 전문 보조 서비스 제공 업체, 우수한 인재의 지원을 받아 건실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개발금융기관
말레이시아의 개발금융기관(DFI: Development Financial Institution)은 국가의 사회∙경제적 발전 목표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주요 부문의 발전과 육성을 위해 설립한 특수 금융 기관입니다. 이러한 전략 부문에 농업, 중소기업, 인프라, 해양 및 수출 주도 산업, 자본 집약적 산업, 첨단 기술 산업 등이 있습니다.

수출신용재금융-i
수출신용재금융-i(ECR-i: Export Credit Refinancing-i)는 직∙간접 수출업자에게 선적 전후로 단기 융자를 제공합니다. 수출 활동 및 국제 무역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말레이시아에 설립된 제조업체나 무역회사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참여 금융 기관(ECR-i Bank)과 정식으로 설정한 ECR-i 신용 한도가 있는 회사는 선적 전 ECR-i 및 선적 후 ECR-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외환 투자의 장단점

[경제동향] 미얀마, 최근의 경제동향


    o 90년 사회주의 경제체제 청산이후 추진해오고 있는 대외개방 및 시장경제 체제가 그동안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특히 농업 분야를 중심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있음.

o 그러나 미얀마는 서방선진국들의 경제원조중단, 년 30%이상의 인플레 지속, 정부관료들의 시장경제 운용능력 부족 등으로 고속성장에 한계를 노출하고 있으며 특히, 이중환율제도는 외국인 투자의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

o 이에 따라 미얀마정부는 정치문제와 관련한 미국등 선진국의 경제제재 조치에 대응한 외화자체 조달책을 강구하고 있는 바, 주로 농업생산 증대를 통한 수출 증대, 산림개발 및 동 산업의 부가가치 제고, 광산물, 수공예품 등의 수출 확대, 석유 및 가스개발 확대 등을 들 수 있음.

o 한편 미얀마는 외국인 투자유치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바, 외국인 투자가 94-96년까지는 미얀마 방문의 해(96년) 행사개최를 계기로 주로 호텔, 상가건설등 관광산업 육성에 집중되어 왔으나, 97년부터는 제조업등 2차산업 육성에 집중되고 있음.

o 그러나 98년도에는 경제난으로 외국기업의 철수가 크게 늘며, 투자유치에 커다란 차질을 빚었고, 99년에도 전년처럼 투자유치가 부진하였으나, 아시아권의 경제회복이 가시화되며, 후반기에는 외국인 투자 발길이 조금씩 늘고 있음. 미얀마투자위원회(MIC) 발표자료에 따르면 99년 10월까지의 외국인투자 승인실적은 322건, U$ 7,154백만이며, \'99 실적은 10건 U$ 66백만으로서 제조업, 호텔 및 관광, 광업 축산 및 어업에 신규 투자가 증가함.

· 광업, 특히 석유, 천연가스 및 루비, 비취 등 보석류

· 부가가치제품 및 농업과 관련된 제조업

- 투자기업의 이윤이 미얀마내에서 재투자될 시 소득세 경감 또는 면제

- 기계, 장비류, 건축물 등에 대한 가속 감가상각 인정

- 자국내에서 이루어진 기술개발 투자비용에 대한 비과세


    - 수출 : 거의 대부분 1차산품의 경우 미얀마 정부주도 수출

      · \'99. 1월 미얀마 정부는 외환확보를 위해 상품의 대외수출시 상업세 8%를 부과키로 발표, 이에 따라 수출업자들이 8%의 부담을 생산자들에게 떠넘기며 생산자의 가격 부담 가중

      · 현행은 필수품목 : 비필수품목 = 80 : 20

    · 전자제품, 승용차등 고가의 소비재품목에 대한 수입허가 발급 규제

    · 외상수입(D/A), 위탁판매수입 등의 편법수입 불허 : 신용장에 의한 수입만 허가


      o 호부진 품목

        - 호조품목 : 경유, 강관, 직물류, 냉연강판, 파스너 및 부품, 아연의괴, 주물류, 전동축, 전동기, 전력케이블, 재봉기 등


        - 현지투자 한국기업(봉제) 원부자재 수요증대와 경유 및 강관 수출

      - 봉제산업 투자증대로 동 원부자재의 수출확대 지속 예상


        o 99년도 우리나라의 대미얀마 수출은 $ 187백만으로 전년대비 약 26.6%가 늘어났음. 2000년도에는 현지 진출한 우리기업의 수출 호조 및 한국의 경기회복에 따른 수출 증대에 힘입어 전년보다 수출이 크게 증가

      o 우리나라의 대미얀마 수출구조는 중화학공업 중심이어서 경공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함. 미얀마 정부의 수입억제정책 대상은 생활용품 등 경공업품목을 목표로 하고 있어 우리의 수출에는 큰 타격을 받지 않고 있음.

      o 반면, 전자제품, 자동차의 수입억제 조치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동 분야 수출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됨.

      o 그러나 미얀마의 기초 생필품 생산설비 및 기계류의 수요증가에 대한 효과적 대응, 현지투자 기업들의 원자재 및 기계류 수출호조, 경유, 강관 공급량 증대로 전반적 수출은 큰 폭의 증가세 시현

      o 2000년중 수출이 크게 늘어난 품목은 경유, 강관, 직물류, 냉연강판, 파스너 및 부품, 아연의 괴, 설, 주물류, 타이어 및 튜브, 재봉기 등임.

      o 반면, 수출이 줄어든 품목은 합성수지, 자기헤드 및 부분품, 의약품, 파이프 및 호오스, 배전제어장치, 발전기, 농기계 등임.


        - 수출·입 금지 조치 : 외환부족 및 국내산업의 보호를 위한 규제

      - 국경무역의 대폭제한 : 외환유출 방지를 목적(특히 중국, 태국과의 국경무역이 미얀마에 많은 영향을 미쳐 공산품의 가격 인상을 유발)

      - 자동차, 전자제품 등 고가의 소비재·완제품의 수입허가 발급 규제

      - 외화취급 가능 은행 역할 제한 및 축소

      - 석유화학제품 원료는 품질면에서 경쟁력을 보유하나 가격면에서는 인근의 경쟁국에 비해 경쟁력 劣勢

      - 전자제품의 경우 현지에서의 조립을 위한 부품수출은 경쟁력 보유

      - 소비재품목의 경우 중국, 태국등 인근의 경쟁국에 비해 품질에서는 경쟁력을 보유하나 Delivery, 가격 등에서는 경쟁력 열세

      o 미국 등 선진국의 경제제재조치 지속으로 경제에 부정적 영향


        - 수입은 원·부자재, 자본재 등 필수품목에 한정되고 소비재 완제품 및 공산품 등의 수입은 제한될 것으로 보임.

      2) 2001년 대미얀마 수출 전망


        - 주요 수출품목의 2000년도 수준 유지(경유)

      - 미국의 의류오더 감소(경기 하강, 인권문제 등)

      종이 및 판지제품 외환 투자의 장단점 대정부 공급물량 전년도 수준 확보

      봉제산업 투자확대에 따른 수요증가 예상

      동남아 대비 경쟁력 열세로 마켓쉐어 감소

      백신공장 신규건설, 경공업 생산기계설비의 투자확대

      신규 봉제업체 현지진출 확대 예상

      한국산에 대한 인지도 상승에 따라 수요 점증

      신문지용 종이의 가격 및 공급경쟁력 열세

      가. 대미얀마 외국인 투자 허가건수(\'99 10월말 현재)

      나. 대미얀마 국별 투자허가 내역(\'99. 10월말 현재)


        - 봉제 12건, 봉제연관 3건, 신발 2건

        ※ \'99. 9월 상기 투자기업인들을 주축으로 하여 "재미얀마 한국투자기업협의회"가 구성되어 공관과 협조하에 각종 투자관련 정보교환, 애로사항 파악 및 해결 노력을 경주하는 등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ICD Project (Inland container Depo Project) EDCF Loan, 99년 3월 준공 Telecommunication Network Expantion Project 전화통신망 확충사업의 일환으로 전화 7,000 회선에 대한 TDX 설치 완료 EDCF Loan을 일부 사용 Electric Power Deistribution Improvement Project EDCF Loan을 이용, 송배전용 전기 기자재 공급 Passanger coaches Procurement Project EDCF Loan을 이용, 특급 침대차 10량 등 총 50량의 차량납품 Kinda-dam Project ADB 자금으로 발전소 건설 Thilawa Port Project 현재 공사중 외국인 전용 공단 건설에 따른 부대 공사로 현대측의 지분참여 TKDC Power Plant

      o 미얀마의 SOC 개발사업

      o 미얀마의 노동력을 이용한 임가공(CMP)산업

      o 미얀마의 산업시설 발전을 겨냥한 산업설비 및 기계류의 진출


        - 경공업분야는 중국, 태국 등 신흥 개발도상국과의 경쟁에서 열세

      바. 미얀마측의 반응 및 진출시 문제점


        - 우리나라의 각종 기술, 품질 등에 대해 만족

      · 우리기업의 진출시 공급자 Financing을 원함

      · 외국 금융시장에서의 미얀마에 대한 인식 부정적 : 금융이용 불가

      · 대금결제조건에서 융통성 불가(외상거래가 극히 어려움)

      · 국내의 산업기반 조성을 위한 소비재 완제픔의 수입규제

      ·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인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진출 불가

      · 인터넷 사용 억제 등 컴퓨터 산업이 취약하여 반도체 진출은 시기 상조

      - 미국, E.U.등 선진국의 대미얀마 경제봉쇄

      · 미얀마 투자진출시 수출보다는 내수에 치중(내수시장 규모 작음)

      · 우리나라로 역수입은 별문제 없으나, 생산품을 제 3국으로 수출시 문제점 예상

      ·특히 선진국형 수출상품 생산을 위한 미얀마 진출은 많은 문제점 보유

      - 선진국의 경제제재 지속으로 외환의 고갈

      - 제세공과금의 외국인 차별 부과에 따른 비용증가

      Ⅲ. 미얀마 시장여건 및 진출시 유의사항


        o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 체제로 이행 과정

          - 88년 시장경제 도입 이후 정착화 노력 지속

        · 공기업 민영화 등 민간경제 부문 육성 및 외국인 투자유치 강화

        - 정부부문에 사회주의 잔재 상존

        · 정부 정책의 투명성 및 예측 가능성이 낮음

        - 외화부족으로 인한 본격적 경제성장을 위한 여건조성 지연

        · 전력, 통신, 운송 등 사회간접자본 시설투자 미흡

        - 티크 목재, 원유, 가스, 주석 등 개발되지 않은 각종 천연자원 매장량 풍부

        - 도로, 전력, 통신 등 인프라 개선의 대규모 프로젝트 투자 가능

        - 단, 최근 국내 정세불안정, 급격한 임차료 상승(특히, 공단지역), 인프라 개발 지연, 각종 정부행정의 불투명성 및 예측 불가능성, 미국, EU 등 선진국 경제제재 등은 투자자들에게 불리점으로 작용

        o 미얀마의 시장규모는 인구 4,600만명에 26억불 수준의 수입(공식통계기준) 규모, 1인당 국민소득 300불 내외로 수입수요는 미세하며 일반 소비재품목의 경우 품질 시장이라기 보다는 가격시장이 특징

        o 그러나 공식수입통계 이외에 중국, 태국, 인도와 국경무역을 감안하면 연간 총 수입규모는 35억불 수준으로 추정

        o 1988년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로 전환하였지만, 아직도 정부의 통제가 많은 부분에 존재하고 있으며, 국민의 의식도 불교의 영향 및 과거 26년간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타성으로 상인정신이 부족

        o 또한 정부에서는 기본적으로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는 품목(Essencial Items) 만 선정하여 수입을 하기 때문에, 국민들이 필요한 생필품 및 의약품 등의 거의 전량을 태국, 중국을 통한 국경무역으로 충당하고 있어 공식적인 시장 활성화가 어려운 상황이며 미국의 경제제재 조치로 인하여 시장상황 더욱 악화


          - 수출유망 기술집약제품 : 생활용품설비, 식품가공 및 포장기계, 건설용 기계, 농업용 기계, 발전설비, 철강제품, 플라스틱 원료 및 제품 등


          o 미얀마는 지난 26년간 버마식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서 모든 산업시설을 국유화하고 민간의 대외무역을 금지, 1988년부터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였다고는 하나 현재까지 거의 모든 제조공장을 정부 공업 1, 2부에서 독점하고 있는 상태인 바, 타국가와 같은 민간 제조공장 및 대기업이 거의 전무한 실정

        o 특히 정부소속 공장 거의 대부분이 외화의 부족으로 원료수입 부족 및 노후 기계 교체 및 수리 불량 등으로 가동율이 20-30%에 머물고 있음. 최근 미얀마 정부에서는 동 실정을 타개하기 위하여 1994년말 국영기업 민영화 위원회를 조직, 정부산하 1,776개의 공장에 대한 민영화 작업을 추진중이나 실적은 微弱

        o 미얀마의 경제를 이끌고 있는 주력산업은 농업, 광업, 임업 등 1차 산업이며, 최근 정부에서도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경제제재 조치로 인한 외화의 부족으로 상기 1차 산업을 발달시키기 위한 최대한 노력 경주


          - 미얀마 농업정책 : 생산증대를 통한 수출산업화

        · 농작물 증산을 위한 농지개간

        o 미얀마에서는 외화를 벌어들일 수 있는 직업이 선호되고, 약 5만명 이상의 선원이 외화를 외국에서 벌어, 일제 자동차, 전자제품 등을 구입하여 귀국, 미얀마에서 판매, 현지화로 전환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외국과의 무역 거래를 통하여 부를 축적한 민간무역상들이 등장, 고급 소비생활을 영위하고 있으나 국민 대다수는 몹시 가난한 실정

        o 미얀마는 타국가에서와 같은 뚜렷한 구매기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음

        o 미얀마의 가장 큰 명절이라고 할 수 있는 4월 기간중 물의 축제 (Thingyan water festival : 4월 중순에 4-5일 계속되며 축제후 바로 신년시작) 기간 중에도 구매자체가 급증하지 않으나 물총이나 어린이 장난감등이 잘 팔림. 10월 불의 축제기간에는 초, 향 등의 특수가 있으나, 기타 크리스마스 등은 불교국인 관계로 거의 판매에 영향이 없음


          o 대부분 중국계들이 대외무역거래(특히 중국, 싱가폴과 거래)를 통하여 상권을 장악하고 있으며, 수리점, 중고용품 판매점, 용역 에이전트 등의 중저급 직업 및 상점은 인도계가 다수

        o 1962년 네윈의 사회주의 정권은 수립당시 상권을 장악하고 있던 중국계를 축출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공장, 산업시설, 큰 규모의 상점, 보석방, 극장 등을 국유화하고 중국인을 박해하므로써 이후 10여년간 중국과의 냉담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70년대 양국 국교 정상화후 다시 중국계가 상권을 장악 현재에 이름


          o 일상용품 위주의 경공업 제품의 경우, 대부분 자체 공장시설이 없어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90% 이상이 국경무역을 통하여 현지에 저가로 유입

        o 정부에서는 동 물품의 대부분이 국경무역을 통하여 유입된 것을 알고 있지만 동 국경무역 규제시 폭등하게 될 일반소비제품의 물가를 우려, 때로는 방치하고 때로는 규제하고 있는 상태

        o 동 국경무역으로 유입되는 상품의 대부분이 품질이 조잡하나, 가격이 타제품에 비하여 싸기 때문에, 구매력이 취약한 소비자에게는 절대적으로 선호

        o 따라서 한국산 경공업제품의 경우 극히 일부품목을 제외하고는 가격경쟁력이 없어 현지 시장 진출이 매우 곤란

        o 한편 기술집약 중공업제품의 경우 지난 30년간 미얀마 정부에 차관 및 원조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며, 미얀마 경제발전에 필요한 기술 집약 중공업 제품 수출을 독점하고 있는 일본산제품이 미얀마 시장을 석권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전자제품, 발전시설, 건설 중장비, 산업용 기계의 90% 이상을 석권하고 있는 상태


          o 무역은 L/C 방식 이외의 여하한 형태의 거래를 허용하지 않고 있음. 일정기간 동안 특수무역(구상무역, 선수입, 후수출, 위탁판매)이 허용되어 왔으나, \'97. 7월 외환파동 이후 상기 특수무역을 비롯한 일체의 외상수입을 불허하고 있으며, 수입을 정부가 강력히 통제(수출로 가득한 외환범위내 주로 필수재에 한해 수입허가, 불요불급 제품 수입 강력히 억제)

        o 현지 시장은 인근 태국, 중국, 인도 등과의 국경무역을 통한 저가제품 유입이 성행하는 시장으로 진출시 이들과의 경쟁력(가격, 딜리버리, 결제조건 등)을 충분히 검토 후 결정함이 바람직

        o 현지 투자진출을 희망할 경우, 투자시 장단점 등을 참조하여 진출하되, 타국가에 비하여 투자지원정책 부족 및 과실송금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음을 인식, 사전 철저한 투자조사후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함(필요시 대사관, 무역관은 물론 재미얀마 한국투자협의회 측을 접촉, 관련정보 및 경험 등 입수).


          o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서 자본주의 경제체제로 전환한지 짧은 역사로 사회주의 당시 개인사업을 인정하지 않아 거의 모든 바이어들이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

        o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대신 열심히 하려고 하는 자세 확립


          - 나만의 이익보다는 나는 물론, 파트너 및 미얀마 산업발전을 위한 거래를 한다는 생각으로 접근 필요

        - 전문적인 지식을 전수하면서 접근 필요

        - 현지의 외화부족을 대비 한국측의 금융지원 모색

        - 접촉, 교환방문, 대면 상담 등을 통한 상호간의 신뢰를 쌓는 거래가 필요


          o 대사관(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 주 소 : 97, University Avenue, P.O.Box 1408, Yangon, Myanmar

          - 주소 : No. 3D, Myaynigone Plaza, Barkagar Road, Sanchaung Township

          - 전화 : 247689, 700655, 571466

          - 1개월 이상 체류한 경우 출국전 Departure Form 작성, 확인 취득 필요

          - 관광비자로 입국시는 공항에서 미$ 300 또는 이상을 현지달라(FEC)로 환전하여야 하며 차액은 출국시 미$로 재환전 불가($300 이상 환전시 차액만큼만 환전가능)


            - 외화소지 신고액 : $2,000 이상

          o 공항에서 호텔까지는 택시를 이용(출국장내 택시안내데스크 접촉, $4∼5)


            - 외국인은 숙박료를 미$로 지불하여야 하며, 호텔 내에서의 팁은 경우에 따라 kyats 500 ∼ 800정도면 충분

            - 한국식당 5개 영업중

          o 안전문제 : 현재로서는 별다른 위험 없이 안전하나 정국 불안요소가 상존하고 있는 지역. 최근 현지에도 환락을 위한 유흥업소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약간의 위험요소(폭력배 등)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밤에 혼자서 유흥업소 출입은 자제요망


            - 기생충(악구 삽구충 등) 질환 및 감염이 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생선, 고기 등은 반드시 익혀먹으며, 생야채 및 식수에 유의

          외환 투자의 장단점

          달러의 가치가 계속해서 오르면서 결국은 1200원을 돌파했습니다.

          자연스럽게 달러 재테크 일명 환테크에 대한 관심도도 매우 높아졌는데요. 앞으로 계속 고환율을 유지할 거란 전망이 있는 만큼 미리 공부해뒀다가 달러투자를 시작하면 좋겠죠?

          오늘부터 다양한 달러투자방법을 소개해드릴건데요. 그전에 미리 말씀을 드리면 가장 쉽고 안정적인 방법일 수록 수익률은 반비례로 움직일 가능성이 큽니다 .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란 말처럼 나름 안전자산인 달러투자에도 방법에 따라 수익률은 다를 수 있음을 말씀드려요. 그래서 여러 달러투자방법을 공부해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으시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가장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달러투자방법, 외화예금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화예금이란

          외화예금은 일반적인 예적금상품과 입출금상품을 의미 합니다. 대신 달러를 입금하게 되는 거죠. 그래서 달러통장이라고 부르는 상품들도 모두 외화예금에 해당이 됩니다. 달러투자방법 중 가장 쉬운 방법에 해당이 되고 환율이 떨어졌을 때 돈을 넣었다가 환율이 오르면 출금하면 그만큼 환차익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외화예금 가입방법

          외화예금상품은 대면 또는 비대면을 통해 원하는 은행에서 가입 할 수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은행앱에는 [외환]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그 메뉴 안에는 환전을 포함해 다양한 외화예금상품이 있는데요. 저는 주거래은행이 신한이라서 신한은행의 메뉴를 확인해볼게요. [외환]을 클릭하니 다양한 메뉴들이 보이죠. 그중에서 외화예적금을 클릭해볼게요.

          신한은행은 예적금상품이 매우 심플합니다. 외화입출금통장인 예금과 적금상품 이렇게 두개만 있네요.

          일반 예적금상품들듯이 마음에 다는 상품을 골라서 개설을 하면 끝입니다. 그리고 원화를 입금하면 바로 달러가 통장에 입금 이 됩니다. 물론 달러를 포함한 외화현찰을 그대로 입금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환전 과정이 없기 때문에 따로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달러에 한해)

          달러예금의 장점

          달러예금의 장점은 간단하고 환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다 는 겁니다. 물론 적금상품이라면 이자소득세가 붙기는 하지만 환율이 올라서 출금했을 때의 차익에 대한 세금은 일절 없습니다.

          또 각 은행마다 특징적인 외화예적금상품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장점 외에도 각 상품별로 특징적인 혜택들이 있어요. 예를 들어 환전우대수수료율이 높다거나 외화를 송금받거나 보낼 때 수수료 혜택을 준다 거나 등등이에요.

          요즘 많은 사람들이 가입하는 것 중 하나는 외환은행의 '밀리언달러통장' 이나 SC제일은행의 달러통장 입니다. 외화통장의 경우 이체를 할 때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거든요. 이 통장들은 수수료 혜택이 있는 것으로 유명해서 유튜브 수익을 얻거나 달러로 송금을 받아야 하는 분들이 요즘 많이 만들고 있더라고요.

          그밖에 거래 금액 한도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액의 투자금을 굴릴 수도 있지만 거액으로 달러투자를 할 경우 달러예금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달러예금의 단점

          앞서 얘기드렸지만 가장 안전할수록 수익률은 가장 저조할 수 있다고 했죠.

          그 이유는 외화통장, 즉 외화보통예금은 일반 입출금통장처럼 이자가 거의 없다 고 보시면 되고 예적금상품 역시도 그때마다 다르지만 거의 없습니다. 그냥 달러를 예치해둔다 정도로 보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환전수수료와 낮은 수수료우대율이 단점 일 수 있어요.

          외화예금에 달러가 입금되는 과정은 원화로 입금을 외환 투자의 장단점 하면 달러로 환전이 돼서 통장에는 달러로 찍히게 됩니다. 이때 환율은 약 1% 정도인 전신환율이 적용이 돼요. 그리고 통장에 따라 환전수수료우대율이 다른데 외회예금은 50~ 80% 정도를 해주는 편입니다. 다양한 환전 방법 중 가장 낮은 환전수수료우대율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밖에 환전 거래 시간의 제한, 인출수수료 등을 단점 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대부분 외화예금은 거래시간이 정해져 있으며 연장을 해주는 경우 환전수수료우대율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요. 또 외화현금 이외의 지급수단으로 입금한 외화를 인출할 때 통화에 따라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주요통화가 아닌 기타통화의 경우 수수료가 꽤 세기 때문에 그냥 입금을 안하는 게 좋을 수 있어요. 물론 달러의 경우, 수수료 면제를 받는 경우가 많으니 가입할 외화예금의 유의사항을 꼭 한번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달러예금의 단점을 보완한 모바일 환전 서비스

          소액으로 투자를 하고 싶다면 외화예금 대신 모바일 환전 서비스를 추천드립니다. 특히나 달러투자금이 크기 않고 원할 때 아무때나 거래를 하고 싶다면 이 서비스가 제격인데요. 이 서비스는 각 은행사마다 다양한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각 서비스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보관 금액이 모두 최대 1만달러 까지입니다. 현재기준 원화로 1200만원정도 되겠네요. 그리고 1회 또는 하루에 환전할 수 있는 한도 도 정해져 있어요. 신한과 농협의 경우 하루에 2000달러, 우리은행은 5천달러, 국민은행은 영업시간 내에 1만달러까지 환전이 가능합니다. 그밖에 환전한 금액들을 외화통장으로 이체도 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게 하나은행이나 우리은행입니다.

          각종 모바일환전 서비스는 장단점들이 모두 다르기때문에 어떤 걸 선택해야할지 고민이 되실텐데요. 원래는 가장 혜택과 사용이 편리한 게 신한은행의 '모바일금고'였어요. 물론 외화통장으로 이체가 불가능하다는 게 단점이었는데 이러한 단점까지 보완된 게 우리은행의 '환전주머니'입니다. 이 두개를 비교한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대부분 달러에 한해 90% 환전우대율을 적용해주고 무엇보다 24시간 거래가 가능 합니다. 각 은행사마다 부수적인 특징이 다르니 꼭 비교해보시길 바랍니다.

          달러예금은 달러투자의 초기입문자용으로 하기에 딱 좋습니다. 물론 달러투자를 계속 하다보면 이 통장들을 보조수단으로 이용할 때도 있기 때문에 결국은 모두 하나쯤은 만들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러면서 다른 달러투자방법과 함께 운용하면서 나만의 방식으로 만들어가시면 됩니다.

          달러예금의 역할을 하면서도 좀 더 수익률이 좋은 상품이 또 하나 있는데요. 그건 달러 RP로써 증권사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아무 투자도 해보지 않은 분들에겐 증권사 계좌개설부터가 두렵게 느껴지실텐데요. 다음 시간에는 증권사를 통하 달러투자방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좀 더 수익을 내고 싶다면 다음 글도 기대해주세요. 구독도 부탁드립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처음 방문이세요?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자료 카테고리

          검색결과제한

          • 국회부산도서관[부산관] (1)

          pdf 파일 아이콘

          협정기관 이용자용 pdf 파일 아이콘 협정기관 이용자용 pdf 파일 아이콘

          국회도서관 방문 이용자용 pdf 파일 아이콘 국회도서관 방문 이용자용 pdf 파일 아이콘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 원문보기 (음성지원)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사람들은 미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현행 국제통화체제의 안정성에 대해 재고하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누적적인 무역적자를 우려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미 달러화의 급락가능성까지 언급하고 있다. 국제통화체제 개선에 관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 가운데에는 미 달러화에 대한 대안으로서 SDR이 거론되는가 하면 최근 중국경제의 빠른 성장을 바탕으로 위안화의 국제화 가능성이 이야기되기도 한다. 한편,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에는 상당수 신흥시장국가들이 대규모의 외환보유고가 축적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외환보유고 사용은 억제하는 대신 대폭의 환율변동을 용인하였다. 과거 외환 투자의 장단점 위기시에 신흥시장국들이 거액의 외환보유고를 소진하였던 점을 생각해볼 때 이는 특이한 현상으로 보인다.

          이러한 국제금융관련 동향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국제통화체제 이슈에 관한 소논문"이라는 대주제하에 세 가지 소주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주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신흥시장국들이 외부충격에 대응하여 보여준 외환보유고 사용패턴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주제에서는 SDR 표시자산의 수익과 리스크를 계산하여 동 자산의 투자매력도가 어떠한지를 다루었다. 세 번째는 위안화의 국제통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신흥시장국들은 거액의 외환보유고를 쌓아놓고도 환율 및 금융시장의 급변동을 피할 수 없었다. 흥미로운 점은 신흥시장국들이 외환시장압력을 해소함에 있어서 환율변동에 의존할 것인지 또는 외환보유고 투입할 것인지에 대한 대응방법이 국가별로 달리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실증분석에서 Aizenman 외(2010)는 단기외채비중이 큰 나라들이 위기시 외환보유고 투입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횡단면 자료만을 사용함으로써 단기외채비중이 큰 나라들이 평상시와 위기시에 각기 다른 모습을 보이는 지에 대해서는 잘 설명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자료를 활용함과 아울러 difference-in-difference(DD) 방법론을 채택함으로써 단기외채비중이 큰 나라들이 위기시에 특징적으로 외환보유고 사용을 꺼리는 현상을 명쾌하게 보여주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신흥시장국들이 외환보유고 사용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으나 위기시에는 단기외채비중이 큰 나라들이 외환보유고 사용을 회피하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기존연구와 비슷한 결과처럼 보이나 특정집단인 단기외채비중이 큰 국가들이 위기시 특징적으로 보이는 외환보유고 사용회피라는 현상을 간명하게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을 지닌다.

          두 번째 주제와 관련하여 SDR 표시자산의 특성을 대표하는 요소로서 동 자산의 수익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계산결과, SDR 표시자산은 환율변동에 대한 포트폴리오 효과를 통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SDR 구성통화중 미 달러화의 비중이 큼에 따라 미 달러화 대비 강세를 유지하는 통화를 자국통화로 하는 투자자들은 외환손실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환보유고의 상당부분을 미 달러화 표시자산으로 운용하고 있는 신흥시장국들은 SDR 표시자산에 투자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익과 함께 외환보유고의 다변화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소논문에서는 토빗모형을 이용하여 위안화의 국제준비통화로서의 가능성을 시산하여 보았는데 최근 중국경제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에도 불구하고 현단계에서는 그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중국 금융시장이 낙후되고 개방도가 낮은 데 기인한다. 다만 중국경제는 위안화 국제화와 더불어 자본자유화 및 환율제도의 유연성 제고를 꾸준히 추진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위안화 국제화가 보다 빨리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을 포함한 역내 국가들은 중국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만큼 향후 위안화 국제화가 가져올 기회와 리스크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제2장 신흥시장국의 외환보유고 사용 기피 현상: 글로벌 금융위기를 중심으로 13

          3. 글로벌 금융위기와 신흥시장국의 외환보유고 사용 17

          가. 글로벌 금융위기전 외환보유고 상황 17

          나. 글로벌 금융위기와 외환보유고 사용 21

          다. 외환시장압력(EMP)과 외환보유고 사용 기피 현상 25

          제3장 SDR 표시 채권의 수익률 및 리스크 특성에 대한 연구 50

          3. 특별인출권(SDR)의 개념과 역할 52

          나. SDR의 구성과 가치 53

          다. SDR의 공적·사적 사용(Public and private use) 54

          4. SDR 표시 채권의 수익률 및 리스크 특성 56

          라. 운용수익률과 만기수익률의 적용 차이 68

          마. SDR 표시 채권의 장점과 한계 72

          제4장 위안화의 국제통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75

          3. 위안화 국제화 추진 현황 77

          가. 위안화 국제화의 의의 77

          나. 국제통화 결정요인과 위안화 국제화의 여건 78

          다.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추진 현황 81

          4. 국제통화 수요추정모형 및 위안화 수요추정 92

          가. 국제통화 수요추정 모형 및 실증분석 결과 92

          나. 위안화 국제수요 예측 100

          〈표 II-1〉 대외거래(순유입)의 항목별 구성비(2005~2007년) 19

          〈표 II-2〉 주요국의 외환보유고 적정성 비교 20

          〈표 II-3〉 주요 Sudden Stop 사례별 외환보유고 변동률 21

          〈표 II-4〉 외환보유고 보유동기와 적정수준 31

          〈표 II-5〉 기초통계량(전 국가) 36

          〈표 II-6〉 기초통계량(고외채국가 및 저외채국가) 37

          〈표 II-7〉 Hausman Test 결과 38

          〈표 외환 투자의 장단점 II-8〉 외환시장압력에 대한 패널분석(고정효과) 결과(1) 39

          〈표 II-9〉 외환시장압력에 대한 패널분석(고정효과) 결과(2) 40

          〈표 II-10〉 외환보유고 사용회피 요인에 대한 Pooled OLS 결과(STR 기준) 41

          〈표 II-11〉 실증분석 비교 44

          〈표 II-12〉 외환보유고 사용회피 요인에 대한 Pooled OLS 결과(PFR 기준) 46

          〈표 II-13〉 외환보유고 사용회피 요인에 대한 외환 투자의 장단점 Pooled OLS 결과(TDR 기준) 47

          〈표 III-1〉 Euro 출범 이후 SDR 바스켓의 구성 변화 54

          〈표 III-2〉 미국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59

          〈표 III-3〉 일본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60

          〈표 III-4〉 영국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61

          〈표 III-5〉 유럽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62

          〈표 III-6〉 한국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63

          〈표 III-7〉 중국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64

          〈표 III-8〉 채권별 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성과순위 비교 65

          〈표 III-9〉 채권수익률 비교 68

          〈표 III-10〉 표준편차 비교 69

          〈표 III-11〉 Sharpe ratio 비교 70

          〈표 IV-1〉 국제통화의 기능 77

          〈표 IV-2〉 중국의 양자간 통화 외환 투자의 장단점 스왑 체결내역 82

          〈표 IV-3〉 중국의 위안화 무역결제 추진 경과 83

          〈표 IV-4〉 위안화 무역결제액 추이 85

          〈표 IV-5〉 홍콩내 위안화표시 금융상품 확대 과정 85

          〈표 IV-6〉 홍콩내 위안화 역외시장 거래상품(2010년말 현재) 86

          〈표 IV-7〉 홍콩내 위안화 채권 발행내역(최초발행 기준) 87

          〈표 IV-8〉 주요통화대비 미달러화와 위안화의 변동성 비교 88

          〈표 IV-9〉 중국의 교역상대국 순위(2009년) 90

          〈표 IV-10〉 한중일 경상·자본 자유화 및 환율제도 이행시기 비교 91

          〈표 IV-11〉 기존연구의 국제통화 수요방정식 변수선정 요약 92

          〈표 IV-12〉 통화별 외환보유고 비중과 설명변수(2010년 기준) 96

          〈표 IV-13〉 Pooled OLS 추정결과 97

          〈표 IV-14〉 Tobit 모형 추정결과 98

          〈표 IV-15〉 Pooled OLS와 Tobit 모형 비교 99

          〈표 IV-16〉 준비통화(Reserve Currency)로서의 위안화 수요 예측 101

          〈표 IV-17〉 각국 통화의 국제수요 평가(2010년 기준) 102

          〈그림 II-1〉 전 세계 외환보유고 추이 17

          〈그림 II-2〉 신흥시장국별 외환보유고/GDP 비율(2007년말 현재) 18

          〈그림 II-3〉 글로벌 금융위기중 분기별 외환보유고 증감률 22

          〈그림 II-4〉 외환보유고 소진이 많았던 국가군 23

          〈그림 II-5〉 외환보유고 소진이 적었던 국가군 24

          〈그림 II-6〉 외환보유고가 증가한 국가군 24

          〈그림 II-7〉 위기기간 전후 외환시장압력 및 외환보유고 사용 27

          〈그림 II-8〉 외환보유고 적극 투입 28

          〈그림 II-9〉 외환보유고 투입 자제, 평가절하 용인 29

          〈그림 II-10〉 외환보유고 투입과 평가절하 병행 30

          〈그림 II-11〉 외환보유고 증가 30

          〈그림 II-12〉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외채비중(2008.6월말 현재) 35

          〈그림 III-1〉 국제금리(국고채 10년물) 및 환율 추이 57

          〈그림 III-2〉 미·일 투자자의 Efficient Frontier 66

          〈그림 III-3〉 영·유럽 투자자의 Efficient Frontier 67

          〈그림 III-4〉 한·중 투자자의 Efficient Frontier 67

          〈그림 III-5〉 만기수익률 적용시 각국 투자자의 Efficient Frontier 71

          〈그림 IV-1〉 각국 경제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79

          〈그림 IV-2〉 외환거래비중과 금융개방도 80

          〈그림 IV-3〉 환율변동성과 CPI Inflation 81

          〈그림 IV-4〉 위안화 무역결제 시스템 83

          〈그림 IV-5〉 통화별 외환보유고 비중(RS)와 GDP 97

          미리보기 이미지 1번째

          미리보기 이미지 2번째

          미리보기 이미지 3번째

          미리보기 이미지 4번째

          미리보기 이미지 5번째

          제2장 신흥시장국의 외환보유고 사용 기피 현상: 글로벌 금융위기를 중심으로 13

          3. 글로벌 금융위기와 신흥시장국의 외환보유고 사용 17

          가. 글로벌 금융위기전 외환보유고 상황 17

          나. 글로벌 금융위기와 외환보유고 사용 21

          다. 외환시장압력(EMP)과 외환보유고 사용 기피 현상 25

          제3장 SDR 표시 채권의 수익률 및 리스크 특성에 대한 연구 50

          3. 특별인출권(SDR)의 개념과 역할 52

          나. SDR의 구성과 가치 53

          다. SDR의 공적·사적 사용(Public and private use) 54

          4. SDR 표시 채권의 수익률 및 리스크 특성 56

          라. 운용수익률과 만기수익률의 적용 차이 68

          마. SDR 표시 채권의 장점과 한계 72

          제4장 위안화의 국제통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75

          3. 위안화 국제화 추진 현황 77

          가. 위안화 국제화의 의의 77

          나. 국제통화 결정요인과 위안화 국제화의 여건 78

          다.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추진 현황 81

          4. 국제통화 수요추정모형 및 위안화 수요추정 92

          가. 국제통화 수요추정 모형 및 실증분석 결과 92

          나. 위안화 국제수요 예측 100

          〈표 II-1〉 대외거래(순유입)의 항목별 구성비(2005~2007년) 19

          〈표 II-2〉 주요국의 외환보유고 적정성 비교 20

          〈표 II-3〉 주요 Sudden Stop 사례별 외환보유고 변동률 21

          〈표 II-4〉 외환보유고 보유동기와 적정수준 31

          〈표 II-5〉 기초통계량(전 국가) 36

          〈표 II-6〉 기초통계량(고외채국가 및 저외채국가) 37

          〈표 II-7〉 Hausman Test 결과 38

          〈표 II-8〉 외환시장압력에 대한 패널분석(고정효과) 결과(1) 39

          〈표 II-9〉 외환시장압력에 대한 패널분석(고정효과) 결과(2) 40

          〈표 II-10〉 외환보유고 사용회피 요인에 대한 Pooled OLS 결과(STR 기준) 41

          〈표 II-11〉 실증분석 비교 44

          〈표 II-12〉 외환보유고 사용회피 요인에 대한 Pooled OLS 결과(PFR 기준) 46

          〈표 II-13〉 외환보유고 사용회피 요인에 대한 Pooled OLS 결과(TDR 기준) 47

          〈표 III-1〉 Euro 출범 이후 SDR 바스켓의 구성 변화 54

          〈표 III-2〉 미국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59

          〈표 III-3〉 일본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60

          〈표 III-4〉 영국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61

          〈표 III-5〉 유럽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62

          〈표 III-6〉 한국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63

          〈표 III-7〉 중국투자자의 채권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64

          〈표 III-8〉 채권별 수익률, 표준편차 및 Sharpe ratio 성과순위 비교 65

          〈표 III-9〉 채권수익률 비교 68

          〈표 III-10〉 표준편차 비교 69

          〈표 III-11〉 Sharpe ratio 비교 70

          〈표 IV-1〉 국제통화의 기능 77

          〈표 IV-2〉 중국의 양자간 통화 스왑 체결내역 82

          〈표 IV-3〉 중국의 위안화 무역결제 추진 경과 83

          〈표 IV-4〉 위안화 무역결제액 추이 85

          〈표 IV-5〉 홍콩내 위안화표시 금융상품 확대 과정 85

          〈표 IV-6〉 홍콩내 위안화 역외시장 거래상품(2010년말 현재) 86

          〈표 IV-7〉 홍콩내 위안화 채권 발행내역(최초발행 기준) 87

          〈표 IV-8〉 주요통화대비 미달러화와 위안화의 변동성 비교 88

          〈표 IV-9〉 중국의 교역상대국 순위(2009년) 90

          〈표 IV-10〉 한중일 경상·자본 자유화 및 환율제도 이행시기 비교 91

          〈표 IV-11〉 기존연구의 국제통화 수요방정식 변수선정 요약 92

          〈표 IV-12〉 통화별 외환보유고 비중과 설명변수(2010년 기준) 96

          〈표 IV-13〉 Pooled OLS 추정결과 97

          〈표 IV-14〉 Tobit 모형 추정결과 98

          〈표 IV-15〉 Pooled OLS와 Tobit 모형 비교 99

          〈표 IV-16〉 준비통화(Reserve Currency)로서의 위안화 수요 예측 101

          〈표 IV-17〉 각국 통화의 국제수요 평가(2010년 기준) 102

          〈그림 II-1〉 전 세계 외환보유고 추이 17

          〈그림 II-2〉 신흥시장국별 외환보유고/GDP 비율(2007년말 현재) 18

          〈그림 II-3〉 글로벌 금융위기중 분기별 외환보유고 증감률 22

          〈그림 II-4〉 외환보유고 소진이 많았던 국가군 23

          〈그림 II-5〉 외환보유고 소진이 적었던 국가군 24

          〈그림 II-6〉 외환보유고가 증가한 국가군 24

          〈그림 II-7〉 위기기간 전후 외환시장압력 및 외환보유고 사용 27

          〈그림 II-8〉 외환보유고 적극 투입 28

          〈그림 II-9〉 외환보유고 투입 자제, 평가절하 용인 29

          〈그림 II-10〉 외환보유고 투입과 평가절하 병행 30

          〈그림 II-11〉 외환보유고 증가 30

          〈그림 II-12〉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외채비중(2008.6월말 현재) 35

          〈그림 III-1〉 국제금리(국고채 10년물) 및 환율 추이 57

          〈그림 III-2〉 미·일 투자자의 Efficient Frontier 66

          〈그림 III-3〉 영·유럽 투자자의 Efficient Frontier 67

          〈그림 III-4〉 한·중 투자자의 Efficient Frontier 67

          〈그림 III-5〉 만기수익률 적용시 각국 투자자의 Efficient Frontier 71

          〈그림 IV-1〉 각국 경제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79

          〈그림 IV-2〉 외환거래비중과 금융개방도 80

          〈그림 IV-3〉 환율변동성과 CPI Inflation 81

          〈그림 IV-4〉 위안화 무역결제 시스템 83

          〈그림 IV-5〉 통화별 외환보유고 비중(RS)와 GDP 97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사람들은 미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현행 국제통화체제의 안정성에 대해 재고하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누적적인 무역적자를 우려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미 달러화의 급락가능성까지 언급하고 있다. 국제통화체제 개선에 관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 가운데에는 미 달러화에 대한 대안으로서 SDR이 거론되는가 하면 최근 중국경제의 빠른 성장을 바탕으로 위안화의 국제화 가능성이 이야기되기도 한다. 한편,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에는 상당수 신흥시장국가들이 대규모의 외환보유고가 축적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외환보유고 사용은 억제하는 대신 대폭의 환율변동을 용인하였다. 과거 위기시에 신흥시장국들이 거액의 외환보유고를 소진하였던 점을 생각해볼 때 이는 특이한 현상으로 보인다.

          이러한 국제금융관련 동향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국제통화체제 이슈에 관한 소논문"이라는 대주제하에 세 가지 소주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주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신흥시장국들이 외부충격에 대응하여 보여준 외환보유고 사용패턴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주제에서는 SDR 표시자산의 수익과 리스크를 계산하여 동 자산의 투자매력도가 어떠한지를 다루었다. 세 번째는 위안화의 국제통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신흥시장국들은 거액의 외환보유고를 쌓아놓고도 환율 및 금융시장의 급변동을 피할 수 없었다. 흥미로운 점은 신흥시장국들이 외환시장압력을 해소함에 있어서 환율변동에 의존할 것인지 또는 외환보유고 투입할 것인지에 대한 대응방법이 국가별로 달리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실증분석에서 Aizenman 외(2010)는 단기외채비중이 큰 나라들이 위기시 외환보유고 투입을 회피하는 경향이 외환 투자의 장단점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횡단면 자료만을 사용함으로써 단기외채비중이 큰 나라들이 평상시와 위기시에 각기 다른 모습을 보이는 지에 대해서는 잘 설명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자료를 활용함과 아울러 difference-in-difference(DD) 방법론을 채택함으로써 단기외채비중이 큰 나라들이 위기시에 특징적으로 외환보유고 사용을 꺼리는 현상을 명쾌하게 보여주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외환 투자의 장단점 신흥시장국들이 외환보유고 사용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으나 위기시에는 단기외채비중이 큰 나라들이 외환보유고 사용을 회피하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기존연구와 비슷한 결과처럼 보이나 특정집단인 단기외채비중이 큰 국가들이 위기시 특징적으로 보이는 외환보유고 사용회피라는 현상을 간명하게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을 지닌다.

          두 번째 주제와 관련하여 SDR 표시자산의 특성을 대표하는 요소로서 동 자산의 수익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계산결과, SDR 표시자산은 환율변동에 대한 포트폴리오 효과를 통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SDR 구성통화중 미 달러화의 비중이 큼에 따라 미 달러화 대비 강세를 유지하는 통화를 자국통화로 하는 투자자들은 외환손실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환보유고의 상당부분을 미 달러화 표시자산으로 운용하고 있는 신흥시장국들은 SDR 표시자산에 투자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익과 함께 외환보유고의 다변화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소논문에서는 토빗모형을 이용하여 위안화의 국제준비통화로서의 가능성을 시산하여 보았는데 최근 중국경제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에도 불구하고 현단계에서는 그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중국 금융시장이 낙후되고 개방도가 낮은 데 기인한다. 다만 중국경제는 위안화 국제화와 더불어 자본자유화 및 환율제도의 유연성 제고를 꾸준히 추진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위안화 국제화가 보다 빨리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을 포함한 역내 국가들은 중국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만큼 향후 위안화 국제화가 가져올 기회와 리스크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