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의 전산 장애 건수가 폭증했다. 증권사들의 보상률은 피해금액의 8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금융위원회가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무소속)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5대 증권사의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서비스 장애는 총 88건으로 키움증권이 33회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삼성증권(19회), NH투자증권(16회), 미래에셋증권(15회), 한국투자증권(5회) 순이다.
증권사의 HTS·MTS는 개인이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 증권사 객장에 나가거나 전화를 하는 대신 퍼스널컴퓨터(PC)나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보편적인 주식 거래 방법이다.
2017년부터 최근 5년간 국내 29개 증권사에 발생한 전산 장애 건수는 총 1136회이며 이로 인해 발생한 피해액은 268억원에 달한다.
증권사의 전산 장애는 2017년 50건, 2018년 72건, 2019년 105건으로 증가하다가 지난해 840건으로 급증했다. 5년 새 16배가 늘어난 셈이다.
전산 장애가 발생한 증권사들도 크게 늘었다.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15개사, 2019년 20개사, 2020년 18개사였으며 지난해에는 23개사로 전체 증권사의 3분의 2 이상에서 전산 장애가 일어났다.
해당 사고가 5년 연속 발생한 증권사는 5년새 16배↑ DB금융투자, NH투자증권, 교보증권, 대신증권, 메리츠증권, 삼성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키움증권, 한화투자증권 등 10개사다.
전산 장애에 따른 최근 5년간 이용자들의 피해액은 총 268억원이었다. 2017년 23억원, 2018년 17억원, 2019년 54억원, 2020년 78억원, 지난해 93억원으로 5년 새 4배 늘었다.
국내 5대 증권사 이용자의 총 피해액은 144억원이며 미래에셋증권 76억원, 한국투자증권 40억원, 삼성증권 15억원, 키움증권 11억원, NH투자증권 1억원 순이다.
하지만 거액의 이용자 피해에도 증권사의 보상은 충분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들은 피해액 268억원 중 218억원을 보상해 피해 보상률이 81% 수준에 그쳤다.
전산 장애가 급증하고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지만 흥국증권과 다올투자증권의 경우 피해 소비자에 대한 보상 규정조차 없었다.
양 의원은 “1분 1초가 5년새 16배↑ 5년새 16배↑ 중요한 증권거래 시장에서 매년 수많은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며 “모든 피해는 이용자 몫인데 소비자 피해보상 규정조차 없는 증권사가 있다. 금융당국에서 피해 재발 방지와 피해자 구제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출시
[아이뉴스24 오경선 기자] 미래에셋증권은 투자성향과 보유상품 현황을 분석해 맞춤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 7월 출시한 통합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M-스톡(STOCK)'에 자체 개발한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탑재함으로써 디지털 혁신을 이어간다.
미래에셋증권이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출시했다. 사진은 미래에셋센터원빌딩. [사진=미래에셋]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는 편리하고 손쉬운 자산관리가 가능한 초개인화 솔루션이다. 수년간의 연구 끝에 개발된 서비스는 5년새 16배↑ 미래에셋증권의 투자철학을 반영한 글로벌 자산배분 모델로 ▲성장형 ▲성장추구형 ▲위험중립형 ▲안정추구형 ▲안정형 등 5가지 투자유형의 포트폴리오를 제시한다.
각 유형은 동일 유형이라도 고객별 가입시점, 매매내역, 계좌잔고 현황에 따라 고객에게 다른 포트폴리오가 적용되어 맞춤화된 자산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로보어드바이저가 매일 계좌를 모니터링해 포트폴리오 변경 신호를 감지하고 시장 환경과 계좌 현황에 맞는 맞춤 포트폴리오를 자동으로 제안하기 때문에 가입자는 지속적으로 초개인화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안된 포트폴리오는 고객이 승인 또는 거절할 수 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미래에셋증권은 글로벌 5년새 16배↑ 자산배분을 통해 고객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연금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 만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면서 "디지털 혁신을 통해 손안에서 자산관리의 모든 것을 경험하실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국내 증권사들의 홈트레이딩시스템(H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장애가 최근 5년간 1000건 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 의원은 "1분 1초가 중요한 증권거래 시장에서 매년 수백건의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은 충격적"이라며 "특히 국내 5대 증권사 중 3개 증권사가 5년 연속 장애가 발생했다는 건 이용자 서비스 관리가 얼마나 허술한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 매우 작은 폰트
- 작은 폰트
- 보통 폰트
- 큰 폰트
- 매우 큰 폰트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최근 5년간 장애건수 1136회, 268억 피해
흥국·다올證, 피해 소비자 보상 규정 없어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국내 증권사들의 홈트레이딩시스템(H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장애가 최근 5년간 1000건 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률은 81%에 그쳤다.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이 금융위원회에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 29개 증권사에서 발생한 HTS·MTS 장애건수는 총 1136회로, 이로 인한 피해액은 268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2017년 50건에 5년새 16배↑ 불과하던 장애건수는 2018년(72건), 2019년(105건), 2020년(69건) 수준이었다가 지난해(840건) 폭증했다.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증권사수도 크게 늘었다. 2017년 15개(51.7%), 2018년 15개(51.7%), 2019년 20개(68.9%), 2020년 18개(62.0%), 지난해 23개(79.3%)로 증권사 3분의 2 이상에서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파악됐다.
서비스 장애가 5년 연속 발생한 증권사는 DB금융투자, NH투자증권, 교보증권, 대신증권, 메리츠증권, 삼성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키움증권, 한화투자증권 등 10개사다. 특히 IBK투자증권이 5년 동안 845회 발생해 장애건수가 가장 많았다.
서비스 장애로 이용자들이 입은 피해금액은 268억원에 달한다. 2017년 23억원 수준에서 2018년(17억원), 2019년(54억원), 2020년(78억원), 지난해(93억원)으로 5년새 4배 불어났다.
증권사별로 피해 규모가 가장 컸던 곳은 미래에셋증권이다. 장애건수는 15번에 그쳤지만 피해액이 76억원에 이른다. 그 다음은 한국투자증권(40억원), 삼성증권(15억원), 키움증권(11억원), NH투자증권(1억원) 순이다.
전체 피해액 268억원 중 보상률은 81%로 218억원 보상에 그쳤다. 양 5년새 16배↑ 의원은 "1분 1초가 중요한 증권거래 시장에서 매년 수백건의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은 충격적"이라며 "특히 국내 5대 증권사 중 3개 증권사가 5년 연속 장애가 발생했다는 건 이용자 서비스 관리가 얼마나 허술한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흥국증권과 다올투자증권은 피해 소비자에 대한 보상 규정도 아직 마련돼 있지 않다는 게 양 의원 설명이다. 그는 "모든 피해는 이용자 몫인데 소비자 피해보상 규정조차 없는 증권사도 있다"며 "금융당국이 피해 재발 방지와 피해자 구제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모바일 트레이딩
자산 증식을 위한 개인의 주식 투자가 보편화된 가운데 증권사의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서비스의 장애 사고가 지난 5년 새 16배나 폭증해 이용자 피해만 26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증권사의 보상액은 피해액의 81% 수준에 그쳐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와 증권사의 책임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7일 금융위원회가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무소속)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 29개 증권사에서 발생한 HTS·MTS 서비스 장애는 총 1천136회며 피해액은 268억원이었다.
증권사의 HTS·MTS는 개인이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 증권사 객장에 나가거나 전화를 하는 대신 퍼스널컴퓨터(PC)나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보편적인 주식 거래 방법이다.
하지만 증권사의 HTS·MTS 서비스 장애는 2017년 50건, 2018년 72건, 2019년 105건으로 증가하다가 2020년 69건으로 주춤했으나 지난해 840건으로 급증했다. 5년 새 16배가 늘었고 1년 평균 227회가 발생한 셈이다.
HTS·MTS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증권사들도 크게 늘었다.
2017년과 2108년에 각각 15개사, 2019년 20개사, 2020년 18개사였으며 지난해에는 23개사로 전체 증권사의 3분의 2 이상에서 HTS·MTS 서비스 장애가 일어났다.
HTS·MTS 서비스 장애가 5년 연속 발생한 증권사는 DB금융투자, 5년새 16배↑ NH투자증권, 교보증권, 대신증권, 메리츠증권, 삼성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키움증권, 한화투자증권 등 10개사였다.
국내 5대 증권사 중에서는 NH투자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이 5년 연속 HTS·MTS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다.
이들 5대 증권사의 HTS·MTS 서비스 장애는 총 88건이었고 키움증권이 33회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삼성증권(19회), NH투자증권(16회), 미래에셋증권(15회), 한국투자증권(5회) 순으로 나타났다.
HTS·MTS 서비스 장애에 따른 최근 5년간 이용자들의 피해액은 총 268억원이었다.
2017년 23억원, 2018년 17억원, 2019년 54억원, 2020년 78억원, 지난해 93억원으로 5년 새 4배 늘었다.
증권사별로 이용자의 피해액이 가장 컸던 곳은 미래에셋증권으로 15차례 장애가 발생하는 동안 76억원의 5년새 16배↑ 5년새 16배↑ 피해가 발생했다.
국내 5대 증권사 이용자의 총 피해액은 144억원이었으며 미래에셋증권을 제외하면 한국투자증권 40억원, 삼성증권 15억원, 키움증권 11억원, NH투자증권 1억원 순이었다.
하지만, 거액의 이용자 피해에도 증권사의 보상은 충분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들은 피해액 268억원 중 218억원을 5년새 16배↑ 보상해 피해 보상률이 81% 수준에 그쳤다.
특히, HTS·MTS 서비스 장애가 급증하고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지만, 흥국증권과 다올투자증권은 피해 소비자에 대한 보상 규정조차 없는 등 금융당국의 허술한 관리 체계도 문제로 지적됐다.
양 의원은 "1분 1초가 중요한 증권거래 시장에서 매년 수백 번의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은 충격적"이라며 "5대 증권사 중 3개사에서 5년 연속 장애가 발생했다는 것은 이용자 서비스 관리가 얼마나 허술한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그는 "모든 피해는 이용자 몫인데 소비자 피해보상 규정조차 없는 증권사가 있는가 하면 피해 보상률은 81%에 불과하다"면서 "금융당국이 피해 재발 방지와 피해자 구제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