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잭션 프로세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소울의 IT 길잡이

[News] 오라클, ‘자율운영 트랜잭션 프로세싱’ 출시로 자율운영 기술 기반 클라우드 포트폴리오 강화

오라클은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기술의 최신 서비스인 ‘오라클 자율운영 트랜잭션 프로세싱(Oracle Autonomous Transaction Processing : 자율운영 온라인 업무처리)’을 출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오라클 자율운영 * 트랜잭션 ** 프로세싱은 혁신적인 머신러닝과 자동화 기술을 활용해 업계 최고 수준의 비용 절감, 보안, 가용성과 생산성을 보장합니 다. 오라클의 새로운 자율 관리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금융, 유통, 제조 및 정부공공 분야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데이터의 트랜잭션 프로세싱을 비롯해 리포팅, 배치작업, 분석업무 등의 다양한 워크로드에 적용 가능하며, 업계 최초로 자율운영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선보인 것에 이어 새롭게 출시한 이번 서비스를 통해 자율운영 기술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포트폴리오를 더욱 강화하고, 고객기업들의 데이터 관리요구사항을 완전하게 충족시킬 수 있게 됐습니다.

오라클 회장 겸 CTO인 래리 엘리슨(Larry Ellison)은 미국 현지시간 8월 7일에 열린 글로벌 발표행사에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는 세계에서 각광받아 온 제품이고, 최신 자율운영 기술로 더욱 진보했다”며, “이는 해킹 위험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고, 99.995%의 가용성을 제공하며, 기업과 관리자들에게 생산성 혁신을 제공할 수 있는 훨씬 더 안정적이고, 안전한 시스템”이라고 이번 출시의 의미와 자신감을 강조했습니다.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전문가가 사용 환경에 맞추어 단계별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복잡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들을 수작업 방식으로 관리해야 했는데, 머신러닝을 활용한 오라클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데이터 트랜잭션 프로세서 트랜잭션 프로세서 관리에 일대 혁신을 가져올 파급력 있는 기술로, 자율 관리(self-driving), 자율 보안(self-securing), 자율 복구(self-recovering)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고객이 새로운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를 즉각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고,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클라우드로 전환하게 하여 비용과 더불어 제품 및 서비스의 시장 출시 시기(Time to Market)를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도록 돕고, 이와 더불어 실시간 분석과 개인화, 부정행위 탐지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배포를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 비용 절감: 데이터베이스와 인프라 운영의 완전한 자동화를 통해 기업은 관리 비용을 최대 80% 수준까지 절감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원하는 시점에 유연하게 크기를 조절 할 수 있고, 사용한 양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는 시스템의 효율성으로 런타임 비용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 위험 감소: 다운타임 없이 자동적으로 최신 보안 업데이트를 적용해 사이버 공격에 대한 취약성을 제거하며, 시스템 장애, 정전, 인적 오류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장애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고, 99.995% 가량의 가용성으로 월 평균 가동중지시간은 2.5분 미만 수준입니다. 데이터베이스 볼트(Vault) 기능은 스누핑 공격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 혁신 가속화: 데이터베이스 관리가 편리해지면서 관리자들은 데이터를 활용하는 보다 가치 있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들은 즉각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튜닝이 필요 없는 손쉬운 관리를 통해 보다 민첩한 업무 처리가 가능해지며, 개발자들은 통합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해 개인 맞춤형 쇼핑, 부정행위 탐지와 같이 실시간 예측을 요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자율운영 클라우드로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이 단순해지면서 기존의 정보시스템이 보다 현대적이고 민첩한 클라우드 모델로 전환되는 움직임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IDC의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 연구 부사장 칼 올로프슨(Carl Olofson)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가 해야 하는 가장 힘든 작업은 미션 크리티컬한 업무처리(Transactional) 데이터베이스를 튜닝하고 유지하는 것인데, DBA는 통계를 갱신하고 튜닝에 대한 조정을 적용하는 것 외에도 보안을 포함한 패치를 매우 자주 적용해야 하며, 이는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운영상 방해가 되는 활동입니다. 오라클 자율운영 트랜잭션 프로세싱 서비스는 이러한 문제가 되는 작업들을 제거하여, DBA로 하여금 비즈니스 반응형 애플리케이션 개발 운영 등과 같은 높은 가치를 위한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알려진 취약성 때문에 기업의 데이터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보장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는 전 세계 애플리케이션의 대다수를 지원해 온 오라클이 40년 이상 축적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됐습니다. 기존 고객의 경우 온프레미스에서 사용하던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기능과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도입이 더욱 편리한 특징을 가졌습니다.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는 고성능 엑사데이터(Exadata) 인프라를 바탕으로 투명한 스케일아웃과 장애 대응 기능을 갖춘 Real Application Clusters (RAC), Active Data Guard의 장애복구, Online Data Evolution등 업계 최고 수준의 고도화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기술을 더해 최상의 미션크리티컬한 워크로드를 지원합니다.

* 트랜잭션: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연산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

** 트랜잭션 프로세싱: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단계로, 수많은 단말기에서 조회한 정보나 변동 기록을 사용해 중앙 시스템에 의해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기본 파일을 검색하거나 갱신하는 것

Function Point 절차 및 규칙 상세 2-1

개념 기능점수 분석 개요(Function Point(FP) - 기능점수 분석은 사용자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규모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 기법으로, 논리적 설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기능들을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기능점수 분석의 목적은 사용자가 요구하여 제공받는 기능들을 구현 기술과 무관하게 측정하는 것이다.

기능점수 분석 개요

기능점수 분석은 사용자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규모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 기법으로, 논리적 설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기능들을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기능점수 분석의 목적은 사용자가 요구하여 제공받는 기능들을 구현 기술과 무관하게 측정하는 것이다.

기능점수 분석의 목적

사용자가 요구하여 제공 받는 기능들을 측정한다.

구현 기술과는 무관하게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 규모를 측정한다.

기능점수 분석의 이점은 조직에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능점수 분석이 사용될 수 있는 용도로 다음을 들 수 있다.

패키지의 모든 기능을 측정하여 구매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의 규모를 결정하는 도구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는 특정 기능을 측정하여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사용자조직에 유익한지를 결정하는 도구

품질과 생산성 분석을 돕기 위해 소프트웨어 제품 단위를 측정하는 도구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과 자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소프트웨어 비교를 위한 정규화 요소

위의 기능점수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용도 이외에도 IFPUG에서는 기능점수 분석의 이점에 관한 추가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기능점수 분석이 사용자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규모를 측정하기 위한 기법이므로, 프로젝트나 트랜잭션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적 요구 정의에 있어서 사용자의 관점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용자 관점이란 사용자의 업무적 요구를 사용자의 용어를 사용하여 공식적으로 기술한 것을 의미한다. 기능점수 측정은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공통되는 언어로 기술된 정보를 사용해야 한다.

사용자 관점

  • 업무 기능에 대한 기술이다.
  • 사용자가 승인한다.
  • 기능점수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 물리적 형태(제안서, 요건문서, 상세사양서 등)는 다양할 수 있다.

기능점수를 측정하기 전에 어플리케이션 생명주기의 단계와 추정 또는 측정 여부를 결정하고, 모든 가정사항을 문서화 해야 한다. 추정을 통한 기능점수 분석은 알려지지 않은 기능과 그 기능의 복잡도에 대한 가정을 해야 하고, 측정을 통한 기능점수 분석은 모든 기능과 복잡도를 식별해야 한다. 프로젝트 초기 제안서만 존재하는 단계에서는 규모 추정은 가능하나, 규모 측정은 불가능하다.


오라클은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기술의 최신 서비스인 ‘오라클 자율운영 트랜잭션 프로세싱(트랜잭션 프로세서 Oracle Autonomous Transaction Processing)’을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에 오라클이 선보인 오라클 자율운영 트랜잭션 프로세싱은 혁신적인 머신러닝과 자동화 기술을 활용해 업계 최고 수준의 비용 절감, 보안, 가용성과 생산성을 보장한다.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금융, 유통, 제조 및 정부공공 분야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데이터의 트랜잭션 프로세싱을 비롯해 리포팅, 배치작업, 분석업무 등의 다양한 워크로드에 적용 가능하다.

앞서 오라클은 업계 최초로 자율운영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선보인데 이어 새롭게 출시한 이번 서비스를 통해 자율운영 기술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고객기업들의 데이터 관리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됐다.

오라클 회장 겸 CTO인 래리 엘리슨(Larry Ellison)은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글로벌 발표행사를 열고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는 세계에서 각광받아 온 제품이고 최신 자율운영 기술로 더욱 진보했다”면서 “이는 해킹 위험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고 99.995%의 가용성을 제공하며, 기업과 관리자들에게 생산성 혁신을 제공할 수 있는 훨씬 더 안정적이고 안전한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

오라클 자율운영 트랜잭션 프로세싱을 이용하면 기업이 관리 비용을 최대 80% 수준까지 절감하면서도 최신 보안 업데이트를 통해 사이버 공격에 대한 취약성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관리자가 데이터를 활용하는 등 보다 가치 있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이 오라클의 설명이다.

하이퍼레저 소투스

하이퍼레저 소투스(Hyperledger Sawtooth)는 2017년 8월의 패브릭 1.0에 이어 등장한 리눅스 재단의 두 번째 하이퍼레저 프로젝트다. 하이퍼레저 소투스는 비즈니스 블록체인을 구축, 배포, 실행 작업을 돕도록 트랜잭션 프로세서 개발했다. [1] 하이퍼레저에 따르면 소투스 1.0에 기반한 블록체인 개념 증명 파일럿 프로젝트는 이미 여러 비즈니스 케이스에 배치돼 있다. 음악 및 미디어 콘텐츠 저작권 분배, 헬스케어 거래 기록, 금융 서비스 내 KYC(Know Your Customer) 등이다. [2]

개요 [ 편집 ]

하이퍼레저 소투스는 50명이 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참여해 개발하였다. 온체인 거버넌스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온 체인 거버넌스는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게 누가 허락을 받았는지와 같은 블록 구성 설정에 투표할 수 있도록 구현하기 위해 자체 실행형 스마트 계약을 활용한다. [1] 소투스는 블록 생성 및 검증을 가속하기 위해 트랜잭션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는 고도의 트랜잭션 실행 엔진을 제공한다. 다른 주요 블록체인 플랫폼인 이더리움도 지원한다. 통합을 통해 이더리움 솔리디티 자바스크립트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소투스는 IDE 및 Web3와 같은 이더리움 도구를 구동할 수 있다. [2] 이와 더불어 소투스 다이나믹 컨센서스(Sawtooth Dynamic Consensus)는 노드나 사용자 네트워크가 커지는 것에 맞춰 관리자가 블록체인 컨센서스 프로토콜을 즉각적으로 수정할 수 있게 해준다. 보다 확장성이 뛰어난 알고리즘이 등장하면 이를 통합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3]

특징 [ 편집 ]

분산 원장 [ 편집 ]

블록체인(Blockchain)의 또 다른 말이기도 한 분산된 원장은 거래의 데이터베이스(원장)를 네트워크의 모든 참가자인 노드에 배포한다. 중앙 관리자나 중앙 집중식 데이터 스토리지가 없다. 다음과 같은 특징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참여자들 사이에서 신뢰를 제공하기 위해 함께 작용한다.

  • 분산 :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신뢰할 수 없는 참여자들 간에 공유된다.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들은 동일한 정보를 가진다.
  • 불변 :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블록 해시를 사용하여 기록을 변경하려는 시도를 쉽게 탐지하고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악의적인 트랜잭션의 변경은 불가능하다.
  • 보안 : 모든 변경은 알려진 ID에 의해 서명된 트랜잭션에 의해 수행된다. [4]

소투스의 특징 [ 편집 ]

애플리케이션 레벨과 코어 시스템 소투스 분리 [ 편집 ]

애플리케이션 레벨과 코어 시스템 레벨 간의 명확한 분리를 제공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하고 구축할 수 있다. 소투스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선택한 언어로 계약 논리를 작성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비즈니스 논리일 수도 있고 스마트 계약 가상 시스템일 수도 있다. 실제로 두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모두 동일한 블록체인에서 공존할 수 있다. 소투스를 사용하면 트랜잭션 처리 트랜잭션 프로세서 계층에서 이러한 설계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동일한 인스턴스에 존재할 수 있다. [5] 각 애플리케이션은 고유한 요구사항에 따라 사용자 지정 트랜잭션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소투스는 낮은 수준의 기능 및 성능 분석 및 블록 정보 저장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모델 역할을 하는 여러 가지 예제 트랜잭션 패밀리를 제공한다. 트랜잭션 프로세서 SDK는 여러 언어로 제공되므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파이썬(Python), Go, C++, 자바(Java) 및 러스트(Rust)를 비롯한 새로운 계약 언어 생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공된 REST API는 인증자 통신을 표준 HTTP/JSON에 적용하여 클라이언트 개발을 단순화한다. [5]

전용 네트워크 [ 편집 ]

소투스는 허가된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축되었다. 소투스 노드의 클러스터는 별도의 사용 권한으로 쉽게 배포할 수 있다. 트랜잭션 패턴이나 기타 기밀 정보를 유출할 수 있는 중앙 집중식 서비스가 아니다. 블록체인에는 역할 및 ID과 같은 사용 권한을 지정하는 설정이 저장되므로 네트워크의 모든 참가자가 이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4]

병렬 트랜잭션 [ 편집 ]

대부분의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의 각 노드에서 일관된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 직렬 트랜잭션을 실행한다. 소투스에는 트랜잭션을 병렬로 분할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소투스는 트랜잭션에 액세스하는 상태 위치에 따라 상황 변화를 유지하면서 트랜잭션 실행을 서로 분리한다. 트랜잭션을 병렬로 실행하는 동시에 이중 지출을 방지한다. 병렬 스케줄링은 순차적인 실행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5]

이벤트 시스템 [ 편집 ]

하이퍼레저 소투스는 이벤트 생성 및 광고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다음을 수행할 수 있다. 새 블록이 커밋되거나 새 포크로 전환되는 등 블록체인 관련 이벤트를 구독한다. 트랜잭션 패밀리에서 정의한 애플리케이션별 이벤트를 구독한다. 트랜잭션 시행에 대한 정보를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에 다시 전달한다. 구독을 제출하고 ZMQ 소켓에서 서비스한다. [4]

이더리움 계약과 세트의 호환성 [ 편집 ]

소투스-이더리움 통합 프로젝트인 세트(Seth)는 소투스 플랫폼의 상호 운용성을 이더리움으로 확장한다. EVM(Ethereum Virtual Machine) 스마트 계약은 소투스 트랜잭션 패밀리를 사용하여 배포할 수 있다. [5]

다이나믹 합의 알고리즘 [ 편집 ]

블록체인에서, 합의는 상호 신뢰가 없는 참가자들 사이의 합의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임의의 결함과 일치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참가자 집합 사이에서 어떤 형태의 투표를 요구한다. 일반적인 접근방식으로는 어떤 형태로든 리더를 선출하는 나카모토식 합의 방식과 전통적인 BFT 알고리즘의 변형 등이 있다. 소투스는 합의의 핵심 개념을 추상화하고 합의와 트랜잭션 의미론을 분리한다. 이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합의 구현을 지원한다. 보다 중요한 것은, 소투스가 동일한 블록체인에 대해 서로 다른 유형의 합의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동의는 초기 네트워크 설정 중에 선택되며 실행 중인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변경할 수 있다. [4]

소투스는 PoET(Proof of Elapsed Time,경과시간 증명)는 대규모 네트워크 집단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덕션 등급 프로토콜로 설계된 나카모토 스타일의 합의 알고리즘이다. PoET는 작업증명 알고리즘의 전력 소비 단점 없이 트랜잭션 프로세서 나카모토 스타일의 합의 알고리즘의 이점을 얻기 위해 보안 명령 실행을 사용한다. PoET 시뮬레이터는 가상화된 클라우드 환경을 비롯한 모든 유형의 하드웨어에 대한 PoET 스타일의 합의를 제공한다. [5]

샘플 트랜잭션 패밀리 [ 편집 ]

소투스에선 데이터 모델(Data model)과 트랜잭션 언어(Transaction Language)는 트랜잭션 패밀리(Transaction family)에서 구현된다. 사용자가 커스텀 트랜잭션 프로세서 트랜잭션 패밀리를 빌드하는 동안 사용자 원장의 고유 요구사항이 트랜잭션 패밀리에 반영된다. 우리는 다수의 코어 트랜잭션 패밀리 모델을 제공한다.

  • Integerkey : 배포된 원장을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 설정 : 체인 구성 설정을 저장하기 위한 참조 구현을 제공한다.
  • ID : 트랜잭터와 검증자 키에 대한 온 체인 사용 권한을 처리하여 공개 키 목록에 대한 ID 관리를 간소화 한다. [4]

추가 트랜잭션 패밀리는 특정 영역에 대한 모델을 제공한다.

  • Smallbank : 블록체인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할 때 벤치마킹 및 성능 테스트를 위한 성능 분석을 처리한다. 이 트랜잭션 패밀리는 H-Store Smallbank 벤치마크에 기반을 둔다.
  • BlockInfo : 구성 가능한 수의 기록 블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4]

애플리케이션 실행 [ 편집 ]

  • XO : Tic-tac-toe를 재생하여 기본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방법을 시현한다. XO 트랜잭션 제품군에는 두 명의 참가자가 게임을 할 수 있는 xo 명령을 사용하여 트랜잭션 생성 및 처리가 포함된다.
  • 소투스 공급 체인 : 모든 자산의 출처 및 기타 상황 정보를 추적 할 수 있다. 공급 체인은 트랜잭션 프로세서, 사용자 정의 REST API 및 웹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완벽한 예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 내 트랜잭션 서명을 위한 안전하고 분산된 솔루션을 보여주고 복잡한 쿼리의 경우 블록체인 상태를 로컬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 소투스 마켓플레이스 : 사용자가 특정 수량의 맞춤 자산을 블록체인의 다른 사용자와 교환 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에는 소투스 유효성 검사기와 함께 소투스 블록체인을 실행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간단한 RESTful API를 제공하는 많은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 소투스 프라이빗 UTXO : 자산을 생성하고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SGX를 사용하여 자산을 장부와 개인 거래에서 양도 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여기서 거래 당사자들만 거래의 세부 사항을 알고 있다. [4]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작 [ 편집 ]

하이퍼레저 소투스 실행 [ 편집 ]

소투스 문서는 소투스 기능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기 위해 로컬 유효성 검사기(local validator)를 성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일단 실행하면 새 트랜잭션을 제출하고 소투스 REST API를 사용해서 블록체인의 블록 데이터와 결과 상태를 가져올 수 있다. 이 메소드는 포함된 예제 트랜잭션 제품군뿐만 아니라 직접 작성하는 트랜잭션 제품군에도 적용된다. 이 메소드는 포함된 예제 트랜잭션 제품군뿐만 아니라 직접 작성하는 트랜잭션 제품군에도 적용된다. [5]

커스텀 애플리케이션 개발 [ 편집 ]

소투스에서 데이터 모델과 트랜잭션 언어는 트랜잭션 제품군에서 구현된다. 트랜잭션 패밀리(transaction family)는 상태를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비즈니스 규칙을 코드화하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트랜잭션을 제출하고 상태를 표시한다. 제공된 핵심 트랜잭션 제품군을 모델로 사용하여 고유한 요구 사항을 반영하는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 패밀리를 작성할 수 있다. 소투스는 REST API와 파이썬, 자바, 자바스크립트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SDKs를 제공한다. 소투스 플랫폼의 상단에서 세트(Seth) 트랜잭션 제품군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솔리디티에 스마트 계약을 작성할 수 있다. [5]

각주 [ 편집 ]

  1. ↑ 1.01.1 리눅스데이타시스템, 〈(CIO Korea)리눅스 재단, 기업용 블록체인 구축 모듈러 플랫폼 '소투스' 공개〉, 《네이버 블로그》, 2018-03-28
  2. ↑ 2.02.1 Lucas Mearian, 〈리눅스 재단, 기업용 블록체인 구축 모듈러 플랫폼 '소투스' 공개〉, 《CIO코리아》, 2018-01-31
  3. ↑ 단비펀드, 〈리눅스 재단, 기업용 블록체인 구축 모듈러 플랫폼 '소투스' 트랜잭션 프로세서 공개〉, 《네이버 블로그》, 2018-02-01
  4. ↑ 4.04.14.24.34.44.54.6 〈[공식 문서 사이트 – https://sawtooth.hyperledger.org/docs/core/releases/latest/introduction.html]〉
  5. ↑ 5.05.15.25.35.45.55.6 옥탑방의 일상로그, 〈Hyperledger Sawtooth에 대하여 알아보자(V.1.0.2)〉, 《티스토리》, 2018-04-10

참고자료 [ 편집 ]

  • 공식 문서 사이트 – https://sawtooth.hyperledger.org/docs/core/releases/latest/introduction.html
  • Lucas Mearian, 〈리눅스 재단, 기업용 블록체인 구축 모듈러 플랫폼 '소투스' 공개〉, 《CIO코리아》, 2018-01-31
  • 리눅스데이타시스템, 〈(CIO Korea)리눅스 재단, 기업용 블록체인 구축 모듈러 플랫폼 '소투스' 공개〉, 《네이버 블로그》, 2018-03-28
  • 옥탑방의 일상로그, 〈Hyperledger Sawtooth에 대하여 알아보자(V.1.0.2)〉, 《티스토리》, 2018-04-10

같이 보기 [ 트랜잭션 프로세서 편집 ]

이 하이퍼레저 소투스 문서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